한화오션이 그리스계 선사 GasLog와 LNG운반선 신조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트레이드윈즈(TradeWinds)에 따르면 GasLog는 선대 현대화를 위해 신조선에 관심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용선계약을 먼저 확정하려는 입장이어서 확실한 용선이 성사돼야 신조 발주가 성사될 전망이다. 업계에는 실제로 GasLog와 ConocoPhillips 간 용선계약 루머가 돌고 있다. GasLog는 이전에도 중국 장난조선소(Jiangnan Shipyard)와 LNG운반선 최대 4척 신조 계약을 협의했으나 의향서 체결 수준에 그쳤다. 당시 시장가격보다 3000만 달러 가량 낮은 2억 3000만 달러의 신조선가가 관심을 끌었지만 아직까지도 계약은 확정되지 않았다. GasLog는 2021년 당시 대우조선해양과 4척의 LNG운반선을 척당 2억 달러 초반대에 계약한 바 있다. 최근에는 노후 증기터빈 방식의 LNG선을 매각하며 선단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자회사인 GasLog Partners가 2007년 건조된 ‘Methane Alison Victoria’호를 미국 엑셀러레이트 에너지(Excelerate Energy)에 2,700만 달러에 매각했다. 올해
한국해양진흥공사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선박 조각투자 발전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안병길 해진공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해운산업은 힘든 산업이지만 우리나라 수출을 지탱하는 중요한 산업"이라며 "선박 조각투자 시범 사업을 앞두고 세계적 흐름에 따라 핵심 금융, 새로운 (디지털) 금융의 길로 나아가는데 지혜를 모으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해진공은 '글로벌 해양강국의 종합 해양지원기관'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김정균 해진공 사업기획팀장은 이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조각투자 시장 확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팀장은 "해운업의 규모가 크지만 국민적 관심도가 낮다"면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조각투자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법령을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 시범사업 대상은 HMM에 용선 중인 컨선 10척 김 팀장은 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선박 조각투자 시범사업의 대상자산은 공사가 보유중인 4600TEU급 6척, 8600TEU급 4척 등 컨테이너선 10척으로 HMM에 용선중인 선박들이라고 밝혔다. HMM에 용선중인 컨테이너선 10척은 공사가 100% 지분을 보유한 선박투자회사(선박펀드, SIC)가 보유하고 있는데 공
HSG성동조선이 그리스 뉴쉬핑(New Shipping)이 발주하는 수에즈막스급 유조선을 통해 7년만의 조선업 복귀를 앞두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삼성중공업(SHI)은 뉴쉬핑과 최대 4척의 유조선 신조 협상을 진행 중이며, 이미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했다. 다만 계약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삼성중공업이 수주하는 이들 15만 8,000dwt급 유조선이 경남 통영에 위치한 HSG성동조선에서 건조될 예정이다. 성동조선은 2018년 법정관리 이후 조선업에서 철수했으나, 삼성중공업과의 전략적 협력으로 재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뉴쉬핑은 이번 계약을 통해 '2+2척'의 유조선을 발주할 계획이며, 척당 8,500만 달러 이하로 추산된다. 인도시점은 2028년 상반기가 유력하다. 한편 뉴쉬핑은 지난 7월 중국 칭다오 베이하이조선소와 16만 3,000dwt급 유조선 '2+2척'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으나, 최종 계약체결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8월 홍해와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통과한 선박이 2024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로이즈리스트(Lioyd's List)에 따르면 올 8월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통과한 선박은 총 1,044척으로, 전월 대비 약 10% 증가했다. 선박 유형별로는 벌크선이 7월 288척에서 8월 352척으로, LPG운반선과 유조선은 같은 기간 12척에서 21회으로 각각 늘었다. 후티 반군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일부 선주들은 해당 항로를 계속 이용하고 있으며, 해운업계에서는 이를 '위험의 정상화' 현상으로 풀이하고 있다. 후티 반군은 규정을 준수하는 선박은 안전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선사들은 대체로 이를 신뢰하지 않고 여전히 희망봉 우회 경로를 선택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후티 반군의 위협 수준은 이스라엘 관련 선박의 경우 여전히 '치명적'이며, 전체 선박에 대한 위협은 '심각' 수준으로 평가된다. 국가별로는 중국과 그리스 선박이 바브엘만데브 통항을 주도하고 있다.
일본 방위장비청(ATLA)은 11일 세계 최초로 선박을 대상으로 한 전자기 레일건 시험 사격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험은 요코스카 해군기지에서 작전을 수행 중인 시험선 'JS 아스카(JS Asuka)호'의 뱃머리에 장착된 레일건을 통해 이뤄졌으며, 해안 인근의 소형 작업선을 목표로 사격이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방위장비청은 시험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시험 장면을 담은 이미지를 통해 레일건의 작동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본 해군은 미국 해군이 공공 목적으로 개발을 중단한 이후에도 레일건 기술개발을 지속해 왔으며, 이번 시험은 그 노력의 결실로 여겨진다. 레일건은 기존 화포에 비해 탄환이 작고 저렴하며, 불활성 금속으로 제작되어 폭발 위험이 낮다. 또한 탄도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물리적 탄환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상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지평선 너머의 목표물까지 타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초음속 미사일 요격 등 다양한 군사적 활용 가능성이 거론된다. 다만, 레일건을 실제 선박에 장착해 운용하는 데에는 기술적 난제가 존재한다. 고속으로 발사되는 텅스텐 탄환은 엄청난 열과 압력을 발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풍력 추진식 고체형 돛 'Wind Challenger'를 탑재한 멤브레인형 LNG운반선을 각각 설계했다. HD현대중공업이 개발한 설계는 마셜제도,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설계는 라이베리아 기국으로부터 각각 기본승인(AiP)을 취득했다. 두 조선소와 공동작업을 한 선사는 일본 MOL이다. MOL은 8일 영국 로이드선급(LR)으로부터 이들 설계에 대해 AiP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 설계는 17만 4,000cbm급 LNG운반선을 대상으로 하며, 선박당 4기의 Wind Challenger가 탑재된다. 현재 실제 선박 건조를 위한 상세 설계가 진행 중이다. MOL은 지난해 기존 LNG운반선에 Wind Challenger 2기를 장착하는 설계에 대한 AiP를 이미 확보한 바 있다. 이번 신규 설계에서는 선수(bow) 쪽으로 선교(bridge)를 이동시켜 Wind Challenger 장착 수를 늘리고, 배치 효율을 최적화함으로써 연료 절감 효과를 극대화했다. MOL은 "사전 시뮬레이션 결과, 항차당 최대 30%, 연간 평균 15~20%의 연료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MOL은 오는 9~12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Gastech 2
한화오션이 그리스 선사 차코스에너지(Tsakos Energy Navigation, TEN)로부터 VLCC를 추가 수주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TEN으로부터 기존에 수주한 VLCC '3+1척' 외에, 이번에 VLCC '1+1척'을 추가로 수주했다. 이들 선박은 2027년과 2028년 사이에 인도될 예정이다. TEN은 노후 선박을 매각하고 장기계약을 기반으로 한 신조선 확보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TEN은 앞서 2023년부터 중고선 시장에서 노후 유조선 17척을 매각해 약 4억 5000만 달러를 확보했다.
외항선원의 국내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처음으로 아파트 특별분양이 실시된다.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9월 1일부터 19일까지 3주 동안 국제항해 선박, 원양어선, 해외취업선 등 국외에서 3년 이상 근무한 선원 중 귀국일부터 2년 이내(승선중인 자 포함)인 외항선원을 대상으로 주택특별공급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이번 주택특별공급은 지난해 '외항선원 주택특별공급 운영기준'(해양수산부고시)을 제정한 후 처음 추진되는 것이다. 해외항로를 운항하는 선박에 승선하여 근무하는 선원의 안정적인 주거 확보를 위해 건설사와 협의를 통해 2025년 9월 부산지역에 분양 예정인 ‘더파크비스타동원’에 외항선원 특별공급 물량으로 총 14세대(예비 70세대)를 배정됐다. 더파크비스타동원은 부산 사상구 감전동 산1-9 일원에 조성되는 아파트로 25.4평형(84㎡) 852세대 규모로 2028년 12월 입주 예정이다. 타입별 가구 수는 84㎡A 552가구, 84㎡B 143가구, 84㎡C 135가구, 84㎡T 22가구로 조성된다. 84㎡T는 오픈형 테라스 특화설계가 적용돼 탁 트인 조망과 사상공원의 자연을 가까이에서 누릴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사상공원은 부지 면적이 62만 311
세계 최초의 암모니아추진 컨테이선 건조가 시작됐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세계 최초 암모니아추진 컨테이너선이 될 'Yara Eyde호' 건조가 중국 칭다오 양판조선소에서 시작됐다. 이 선박은 1400TEU급 내빙 연근해용 컨테이너선으로, 노르웨이와 독일 사이의 북해항로에서 오슬로, 포르스그룬, 브레머하펜, 로테르담 등을 오갈 것으로 전망된다. 선주의 CMB의 자회사 Delphis이며, 선박 운영은 NCL Oslofjord사가 맡게 된다. NCL Oslofjord사는 North Sea Container Line과 Yara Clean Ammonia의 합작사다. 'Yara Eyde호' 건조에는 노르웨이 정부가 약 360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암모니아는 독성이 강하지만, 탄소 배출이 거의 없는 대체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 암모니아추진선은 파일럿 프로젝트 수준이었으나, Yara Eyde호는 상업 운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노르웨이선급인 DNV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향후 4년간 39척의 암모니아추진선이 인도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 리스크에 대한 경계심이 커지면서 유럽 선주들이 중국 리스에서 벗어나 JOLCO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 중국 선박에 높은 입항료를 부과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JOLCO가 주목받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24년 JOLCO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1% 증가한 5,441억 엔으로 추산되며, 2025년에는 5,877억 엔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선박 투자 규모는 80% 증가해 2,074억 엔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대상 선박은 LNG운반선, 자동차운반선, 컨테이너선 등이며, 최근에는 6,000~8,000TEU급 친환경 이중연료 컨테이너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 세제 개정으로 해외 건조 신조선에 대한 특별 감가상각 혜택이 축소되면서, 기존 선박에 대한 JOLCO 수요가 증가했다. 기존 선박은 특별 감가상각을 전제로 하지 않기 때문에 세제 개정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JOLCO란? JOLCO(Japanese Operating Lease with Call Option)는 일본 투자자가 SPC(특수목적회사)를 통해 선박을 구매하고, 이를 선주나 해운사에 임대하는 금융 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