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워싱턴 연방순회항소법원은 29일(현지시간)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은 위법하다고 판결했다. 판결이 확정될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전세계에 부과한 상호관세는 무효가 된다.
⚖️ 주요 내용
-
1심과 2심 모두 위법 판결
-
IEEPA는 관세 부과 권한을 명시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대통령에게 무제한적 권한을 부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위법으로 판단.
-
-
트럼프 대통령 반응
-
“관세가 사라지면 국가에 재앙”이라며 대법원에 상고할 뜻을 밝힘.
-
항소법원은 판결 효력을 10월 14일까지 유예해 상고할 시간을 확보.
-
-
대법원 판단의 중요성
-
대법원이 위법으로 확정하면 주요국에 부과된 상호관세는 무효화됨.
-
반대로 트럼프 측 손을 들어주면 기존 관세 협상은 유지.
-
철강·반도체 등 일부 품목은 무역확장법에 근거해 별도 적용.
-
-
정치적 배경
-
미국 대법원은 보수 우위로 평가되지만, 결과를 예측하기는 어려움.
-
대법원 판결이 해운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1. 무역 흐름의 불확실성 증가
-
관세가 무효화될 경우, 기존의 무역 협상과 물류 계획 재조정.
-
특히 중국, 캐나다, 멕시코 등 주요 교역국과의 관세가 소송 대상이므로, 해당 노선의 운송 수요와 운임에 변동 가능성.
2. 운임 및 수요 변화
-
관세 철회 시, 수입품 가격이 낮아져 수요 증가 → 해운 물동량 증가.
-
반대로 트럼프가 대체 관세를 추진할 경우, 특정 품목에 대한 수요 감소 → 해운 수요 위축.
3. 계약 및 협상 재검토
-
관세를 기반으로 체결된 무역 계약들이 무효화될 가능성.
-
해운사들은 화주들과의 운송 계약 조건을 재조정하거나, 새로운 리스크 조항을 추가해야 할 수도 있음.
4. 시장 전략의 재편
-
트럼프가 대법원에서 패소할 경우, 관세 정책이 대폭 수정될 가능성. 상호관세가 무력화되더라도 다른 형태의 관세나 비관세 장벽 도입 가능성.
-
해운업계는 이에 따라 노선 전략, 선복 배치, 운임 정책 등을 재편해야 할 필요.
5.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 위축
-
관세 정책의 향방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해운사 및 물류기업의 신규 투자나 선박 발주가 지연될 수 있음.
-
트럼프가 대법원에 상고할 예정이며, 판결 효력은 10월 14일부터 발생하므로, 해운업계는 그 전까지 대비책 마련과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