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삼호가 그리스 선주 크리톤 렌두디스(Kriton Lendoudis)가 이끄는 에발렌드쉬핑(Evalend Shipping)으로부터 15만 7,000dwt급 수에즈막스 유조선 2척을 수주했다. 선가는 척당 8,700만 달러, 총 1억 7,400만 달러 규모로 추산된다. 신조선은 2027년 하반기에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 발주로 에발렌드쉬핑이 HD현대삼호에 발주한 수에즈막스 발주물량은 총 6척으로 늘어났다. 이 선사는 지난 5, 6월에도 각각 4척을 척당 평균 8,850만 달러에 신조 발주한 바 있다. 현재 에발렌드쉬핑의 오더북은 LNG운반선, LR1 유조선, 화학제품선, VLGC, LNG벙커링선 등 총 37척, 금액은 약 35억 달러에 달한다. 총 보유선박은 61척이다. 이 계약에 힘입어 HD한국조선해양은 연간 수주목표 180억 5000만 달러 중 약 60%를 달성했다.
HD한국조선해양이 베트남에 이어 필리핀에서 해외조선소 성공역사를 이어간다. HD현대의 조선 부문 중간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2일 필리핀 수빅만에 위치한 ‘HD현대필리핀조선소(이하 HD현대필리핀)’에서 11만 5천 톤급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 건조를 위한 강재절단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 선박은 HD현대필리핀이 짓는 첫 선박으로 지난해 12월 아시아 소재 선사로부터 수주한 총 4척의 시리즈선 중 1차선이다. 강재절단식(Steel Cutting)은 선박 건조를 위한 첫 강재를 잘라내는 행사로 선박 건조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가 있다. 이날 행사에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Ferdinand Marcos Jr.) 필리핀 대통령을 비롯해 메리케이 칼슨(MaryKay Carlson) 주필리핀미국대사, 이상화 주필리핀한국대사, 김성준 HD한국조선해양 대표 등이 자리를 함께해 HD현대필리핀의 첫 선박 건조를 축하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5월 서버러스 캐피탈(Cerberus Capital)과 필리핀 조선소 일부 부지에 대한 임차계약을 체결, HD한국조선해양의 두 번째 해외조선소로 출범시켰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 1996년 베트남 칸호아성에 HD현대베트남조
스크러버(Scrubber) 장착 VLCC가 지난 5년간 짭짤한 수익을 누린 것으로 평가됐다. 영국의 선박중개업체 깁슨(Gibson)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20년 국제해사기구(IMO)의 황 배출규제 시행 이후 스크러버가 장착된 VLCC가 상당한 수익 우위를 점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초저유황연료(VLSFO)와 고유황연료(HSFO) 간의 가격 차이 덕분에 스크러버 설치 선박은 경제적 이익이 컸다. 특히 싱가포르에서 벙커링을 할 경우, 친환경 스크러버 설치 VLCC는 연간 평균 230만 달러의 추가 이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간 총 1,150만 달러, 하루 약 6,300달러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로테르담에서 벙커링을 한 경우 가격 차이가 적어 이익은 180만 달러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지난 5년은 좋았지만 향후 전망까지 밝은 것은 아니다. 스크러버 설치 비용이 100만 달러 이상이며, 연료비 상승과 함께 EU의 배출권 거래제도(EU ETS) 도입 등으로 선주 부담은 커지고 있다. 휴스턴-로테르담 항로에서 아프라막스급 유조선은 올해 평균 15만 달러의 배출 비용을 부담했으며, 2026년에는 이것이 20만 달러로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올해 추석은 개천절부터 한글날까지 이어지는 최장 황금연휴(10.3.~10.9./7일)로, 차량 선적이 가능한 주요 관광 항로 카페리 선박의 예약은 일찌감치 마감되는 등 뱃길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이에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은 추석을 한 달여 앞둔 지난 2일 충남 보령시 대천항 인근 신한고속훼리호(344톤급, 여객정원 272명)에서 여객선 전기차 화재 대응 합동훈련을 실시했다. 공단이 주관하고, 해양경찰서와 소방서, 여객선사 관계자 등 약 100명이 참여한 이번 훈련은 초기 진화부터 여객 대피, 해경·소방의 합동 진압까지 전 과정을 실전처럼 재현했다. 특히 공단은 이번 훈련에 재난안전통신망을 최초로 활용, 본사 운항상황센터에서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현장 상황을 실시간 확인하고, 무전 등으로 소통하며 기관 간 공조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해상 운송에서 전기차 수송이 보편화되면서, 여객선 전기차 화재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작년에만 약 2만 3천 대의 전기차가 여객선을 타고 바다를 건넜고, 현재 기준 전국 여객선 149척 중 117척(78.5%)이 전기차를 실을 수 있다. 공단 관계자는 “전기차 화재 특성상 여객선과 같은 밀
국제해상보험연합(IUMI)이 Ro/Ro 및 PCTC 선박 내 전기차(EV) 화재가 폭발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고와 함께 관련 지침을 강화했다. EV 화재가 단순한 화재 위험을 넘어, 선박 구조와 화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는 현실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IUMI에 따르면 EV 배터리는 과열이나 내부 결함으로 인해 자체 발화할 수 있으며, 열폭주 상태에 진입하면 고온에서 연소되며 진압이 어렵다. 특히 좁은 Ro/Ro 데크에서는 독성 연기와 가연성 가스가 빠르게 확산돼 소방 활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업계는 기존의 호스 진압 방식 대신, 환기를 차단하고 CO₂ 고정식 소화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대응 전략을 전환하고 있다. IUMI는 “초기 대응이 핵심”이라며, 화재 발생 직후 고정식 소화 시스템을 신속하게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방식에도 위험이 따른다. EV 배터리에서 방출되는 수소 등 가연성 가스가 밀폐된 공간에 축적되면 공기와 혼합돼 폭발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EV 화재 시 방출되는 가스 중 약 30%가 수소로, 폭발 가능성이 높다. 또한 PCTC 선박의 구조적 특성도 위험 요소로 지적됐다. 넓은 개
한국해운조합(이사장 이채익)과 근로복지공단(이사장 박종길)이 4일 ‘선원 재해보상 및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최근 3개년(2022년~2024년) 조합 선원 재해자 수는 평균 515명에 달하고 있으며, 선원은 선원법에 따라 재해를 보상하고, 장해보상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준용하며, 조합은 공제상품으로 이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육상 근로자 재해보상 및 재활사업 수행, 직영병원 네트워크 등 산재 분야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공단과 조합이 선원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하고자 힘을 모으게 된 것이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 선원 재해와 관련된 치료 지원을 위한 공단 직영병원의 산재 의료서비스 제공, ▲ 장해 판정 및 직업병 등 산재 분야에 관한 전문성 공유, ▲ 선원재해 보상 및 산업재해 보상 제도 운영 등 관련 분야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조합은 “이번 협약으로 공단의 보유 인프라, 특히 전국 공단 소속병원의 우수한 재활치료서비스를 통해 선원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며, “오늘 업무협약을 통해 선원재해 보상과 산업재해 보상이 함께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는 국내 선박금융 시장의 현황을 진단할 수 있는 국적선사 선박금융 분석 결과를 최초로 공개했다. 이번 조치는 정부의 해운정책 수립뿐만 아니라 민간의 산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통계 인프라를 마련하고, 업계 전반의 객관적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해진공은 2022년부터 매년 국적선사의 금융조달 현황을 수집ㆍ분석해 왔으며, 2024년 1월 「한국해양진흥공사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해운항만업 관련 시장ㆍ산업 조사 ㆍ분석’ 의 법적 권한을 확보했다. 이번 공개는 그 첫 결실로, 학계ㆍ산업계ㆍ정부 등 이해관계자들이 국내 선박금융 시장 구조를 파악하고, 데이터에 근거한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이번 분석에는 국적선사 100개사 보유 1,030척의 2024년 말 기준 금융 데이터가 집계됐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적선사의 선박금융 실행 규모는 약 87.7억 달러, 금융 잔액은 약 24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번 분석 결과에는 연간 집행 규모, 잔액 추이, 자금조달 구조 및 공급 주체별 시장점유율 등이 포함되었다. 해진공은 분석결과를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식 블로그를 통
KR(한국선급)은 1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가스텍(Gastech) 2025’ 전시회에서 HD 한국조선해양, HD 현대중공업과 공동 개발한 암모니아 연료 추진 선박 안전 솔루션 ‘Hi-CLEARS(Hyundai integrated Clean Liquid basEd Ammonia Release mitigation system with SCR)’에 대해 개념승인(AIP, Approval in Principle)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AIP는 KR과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이 함께 진행한 공동개발 프로젝트의 결실로, 암모니아 추진선 상용화를 가로막던 안전 및 환경 규제 장벽을 해소하고 국제 기술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새롭게 개발된 Hi-CLEARS는 운항 중 발생할 수 있는 암모니아 누출가스를 신속히 회수해 암모니아수 형태로 전환하고, 이를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에 환원제로 공급하여 처리하는 친환경 기술이다. 이를 통해 누출된 암모니아를 완벽하게 제거하면서도 대기와 해양으로의 배출 역시 ‘제로(Zero Discharge)’ 수준으로 실현할 수 있는 혁신적인
남해지방해양경찰청·부산지방해양수산청·부산항만공사(사장 송상근) 등 3개 기관이 공동으로 부산항의 항만 안전과 해양환경 개선을 위해 노후되어 장기 방치된 유조선 3척을 폐선조치 했다고 8일 밝혔다. 현재 부산항에는 100여척의 소형선박이 미운항 상태로 계류하고 있으며, 일부는 선주가 관리하지 않는 노후 선박이 장기간 방치되어 항내 안전위협 및 해양오염 위험 우려 등 많은 문제가 돼왔다. 이들 선박을 관리 강화하기 위해 위 3개 기관은 지난 5월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합동실태조사와 안전컨설팅 결과 부산항 내 고위험 선박 12척이 확인됐다. 이중 단일선체로 장기간 방치된 노후 유조선 3척은 선체 내부에 약 235톤의 잔존유(경유)가 적재되어 있어 침몰·침수시 대규모 해양오염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컸다. 이에 선박 내 잔존유를 모두 제거하고 소유권 및 채권·채무 문제를 조정하여 폐선 절차를 신속히 진행했다. 이를 통해 항만 내 안전사고와 환경오염 위험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었다. 잔여 9척은 추후 연내 수리 또는 매각을 관계자들과와 협의해서 처리할 계획이다. 남해해경청 이종남 해양오염방제과장은 ‘장기방치된 선박안에 적재된 폐유는 항만 안전을 위협하고
최근 벌크선 재활용에서 터키와 인도 간의 고철가격 차이가 거의 2배에 육박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키프로스 선주 SMT가 관리하고 네덜란드 선사 Bontrup이 운영하는 1982년 건조된 벌크선 'Yeoman Bank호'는 터키 알리아가(Aliaga)의 EU 인증 야드에 ldt당 250달러에 매각됐다. 총 금액은 230만 달러다. 이에 비해 2001년 건조된 7만 6,600dwt급 'Bonita호'는 인도 알랑(Alang)으로 향할 예정이다. 이 선박의 매각가는 ldt당 468달러로, 선주 Pianara Shipping은 약 480만 달러를 받았다. 이같은 큰 가격차는 EU 인증 야드가 홍콩 협약을 준수하는 인도 야드에 비해 경쟁력에서 밀리는 현실을 보여준다. 터키의 알리아가 해체장은 EU 인증 야드로 환경기준이 높고 비용이 많이 든다. 반면 인도의 알랑 해체장은 홍콩협약 준수 야드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구조를 갖고 있다. 이번 해체매각 사례는 선박 재활용 시장에서 지역별 규제와 인증 체계가 실제 거래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