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 조선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유럽 소재 선사와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2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수주 금액은 총 2306억원이다. HD현대미포에서 건조해 2027년 7월까지 인도할 예정이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LPG운반선 2척 발주 선사는 멕시코의 니에토그룹(Grupo Nieto)의 자회사로 네덜란드에서 영업활동을 하는 니에토트레이딩(Nieto Trading)이다. 니에토가 발주한 선박들은 HD현대미포에서 건조된다. 니에토는 지난 2019년에도 3만 8,000cbm급 LPG운반선 '레거시(Legacy)호'(2021년 건조)를 HD현대미포에 5200만 달러에 발주한 바 있다. 한편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총 27척 43억1천만달러를 수주해 연간 목표(180억5천만달러)의 23.9%를 달성했다. 선종별로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1척, LNG 벙커링선 4척, LPG·암모니아 운반선 4척, 에탄 운반선 2척, 컨테이너선 12척, 탱커 4척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중국의 조선·해운 산업 견제를 위한 입항 수수료 부과 등에 대한 수정 계획을 발표했다. USTR은 17일 수정계획을 통해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이 미국으로 들어올 경우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며 수수료는 180일 뒤인 오는 10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부과된다고 밝혔다. USTR 발표 내용에 따르면 수수료는 하나만 부과하며, 중복 계산하지 않는다. USTR의 조치는 1단계와 2단계로 구분해 시행된다. USTR은 중국 선사 및 선주에 대해 순톤수(Net Tonnage) 기준으로 수수료를 부과한다. 중국산 선박에 대해서는 순톤수 또는 TEU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부과하며, 둘 중 높은 금액을 적용한다. 수수료는 톤당 18달러에서 시작해 2028년에는 33달러로 인상된다. TEU 기준의 경우 TEU당 120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여 2028년에는 이를 250달러로 인상한다. 중국 선주나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수료 부과는 1년에 최대 5회까지 가능하다. 이같은 수수료는 지난 2월 발표된 초안보다는 작아진 것이다. 1단계에는 외국산 자동차운반선(PCTC)을 대상으로 선박의 CEU당 부과되는
국내에서 첫 건조된 크루즈 페리 '팬스타 미라클호'가 공식 취항한 지 나흘 만에 기계적 결함이 생겨 운항에 차질을 빚고 있다. 17일 팬스타그룹 등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후 7시45분께 승객 약 200명을 태우고 일본 오사카에서 부산으로 향하던 미라클호가 운항 중에 기계적 결함이 발견돼 엔진 2개 중 1개만 작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라클호는 속도를 줄인 채 운항 중이다. 이 선박은 17일 오후 1시15분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 도착할 예정이었지만, 오후 6시께 지연 도착할 것으로 예상됐다. 팬스타그룹은 미라클호가 부산에 도착하는 대로 긴급 점검을 거쳐 운항 일정을 조정할 계획이다. 팬스타그룹 관계자는 "새 선박인 미라클호의 각종 기기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조선소 관계자 등 승선해 검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일부 배관에 금(Crack)이 발견됐고, 확인한 결과 두 번째 주기관의 비상라인 윤활유 배관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시운전까지 마친 배에 결함이 발생한 것은 상당히 드문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유럽이나 중국에 비해 국내의 크루즈선 건조 능력은 떨어진다"며 "그나마 '빅3'가 아닌 중소조선소가 이를 건조했다는
2025 부산국제보트쇼가 18일부터 3일간 부산 벡스코와 수영강 일대에서 열린다. 부산국제보트쇼는 국내 해양레저관광의 대중화,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4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는 해양레저관광 관련 기업 130여개 사가 요트·보트, 해양레저용 항해·통신·안전설비, 낚시용품 등 해양레저 활동에 필요한 장비와 상품을 선보인다. 미주·아시아·중동·유럽 등 12개국에서 방문한 구매자와 업계 간 '비즈니스 상담회'가 진행된다.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주제로 한 국내 해양 분야 학술 전문가 포럼, 온라인 보트 동호회와 낚시용품 특별관도 마련된다. 행사 첫날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포럼이 열려 참석자들은 국내 해양레저장비산업 활성화 방안, 관련 제도 개선의 필요성과 방향 등을 논의한다. 벡스코, 수영강, 수영만 요트경기장에서는 서핑·카누, 어린이 낚시, 로잉머신 등 해양레저 체험 활동과 구명조끼 착용, 응급처치 등 다양한 해양 안전 체험 행사가 열린다. 부산국제보트쇼에 참여하고 싶은 시민은 부산국제보트쇼 홈페이지(www.boatshowbusan.com)에서 사전 등록하면 된다.
노르웨이의 세계문화유산인 피요르드에 내년 1월 1일부터 '탄소 제로' 규제가 적용된다. 노르웨이의회(Storting)는 16일 이같은 내용의 피요르드를 운항하는 여객선 및 페리선 탄소배출 제로(Zero)를 위한 법안 요건과 일정을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1단계는 불과 8개월 후 시행된다. 내년 1월 1일부터 1만 톤 미만의 여객선은 피요르드 운항시 탄소배출 제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대상 피요르드는 Geirangerfjorden, Nærøyfjorden, Aurlandsfjorden, Sunnylvsfjorden, Tafjorden 등이다. 다만, 1만 톤 이상의 대형 선박에 대해서는 2032년 1월 1일부터 탄소배출 제로 요건이 적용된다. 노르웨이 기후환경부의 안드레아스 에릭센 장관은 "이 법안은 세계문화유산인 피요르드 보존을 위한 중요한 돌파구"라고 말했다. 법안에는 피요르드 운항 선박은 가능한 한 육상 전력을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이 포함됐다. 노르웨이의회는 이를 위해 플롬(Flåm)항에 육상 전력을 공급키로 하고, 1억 노르웨이크로네(950만 달러)의 예산을 책정했다. 노르웨이는 페리용 배터리 및 대체연료 개발에서 앞서 나가고 있다. 지난 2022년
남성해운의 관계사인 IGFC (인천글로벌풀필먼트센터㈜)가 스마트물류센터 예비인증 2등급을 획득했다. 국내에서 보기 드문 보세구역과 비보세구역이 융합된 복합 물류센터로, 스마트물류인증을 받은 첫 사례 중 하나다. 인천글로벌풀필먼트센터는 1층 보세구역과 3층 비보세구역을 동시에 운영하며, 특히 3층 비보세구역을 중심으로 풀필먼트와 스마트물류시스템을 구축해 이번 인증을 획득했다. 이같은 사업모델은 이커머스 역직구(CBEC) 수출 물류를 One-Stop 처리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물류시스템을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향후에는 역직구와 직구 이커머스 물량을 통합 처리할 수 있는 유연한 물류 환경 및 CBEC 토탈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센터 관계자는 “이번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은 IGFC가 갖춘 자동화 설비, 통합 WMS(물류관리시스템), 실시간 물류 데이터 관리체계 등 물류 디지털화 역량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고객사에게 더 빠르고 효율적인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고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글로벌풀필먼트센터는 향후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권 이커머스 시장을 타깃으로 한 역직구 허브 거점으로
인천항만공사(IPA)는 인천 섬 관광 활성화를 통한 연안 여객 증대를 위해 유명 크리에이터와 함께 인천 섬 여행 영상을 제작하고, 유튜브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홍보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공사는 이번 협업을 시작으로 인천 섬 관광의 매력을 널리 알리고,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는 크리에이터들이 직접 섬을 여행하며 경험을 공유하는 방식의 영상을 통해 생동감 있는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영상제작에는 유튜브 구독자 수 20만 명의 ’팀브라더스‘와 유튜브 구독자 수 2만5천 명의 ’호라호라‘가 참여한다. ’팀브라더스‘는 자월도의 관광 명소와 맛집을 소개하는 당일치기 여행 콘텐츠를 제작한다. ’호라호라‘는 백패킹을 주제로 한 여행 영상을 촬영해, 굴업도의 자연미를 강조할 예정이다. 이번 영상은 18일 인천항만공사 공식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며 인스타그램 및 페이스북에서도 편집본을 감상할 수 있다. 공사는 이 외에도 다양한 홍보 활동을 통해 인천 섬 여행을 즐기는 관광객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변규섭 IPA 홍보실장은 “이번 영상이 인천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는 16일 부산희망드림센터(센터장 김성진)에서 'KOBC 사랑의 특식데이'를 개최해 지역사회 이웃을 대상으로 총 500만원 상당의 특식과 생필품 꾸러미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해진공 임직원으로 구성된 'KOBC 바다사랑봉사대'는 노숙인 등 취약계층 150여 명을 대상으로 영양가 높은 특식(전복삼계탕)을 제공하고, 차양모자·가방·휴지 등 생필품 꾸러미를 전달하는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안병길 해진공 사장은 “어려운 이웃을 돕고 지역사회에 따뜻한 나눔 문화를 조성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봉사활동을 통해 경제적·정서적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2년부터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구성된 'KOBC 바다사랑봉사대'는 소외계층 지원, 환경보호 활동 등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전문기관 ‘동아시아 바다공동체 오션’, ‘부산 사회공헌정보센터’ 등과의 협력으로, 체계적이고 다채로운 봉사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향후 3년간 전 세계 선원들의 최저임금을 6.2% 인상하는 노사 합의안이 타결됐다. 선주와 선원 대표는 지난 14, 15일 이틀 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국제노동기구(ILO) 합동해사위원회(JMC) 선원임금소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임금 인상안에 합의했다. ILO에 따르면 선원의 최저 기본임금은 월 673달러에서 2026년 1월 1일부터 690달러, 2027년 1월 1일부터 704달러, 2028년 1월 1일부터 715달러로 각각 인상된다. 이는 연간 1.5%~2.5% 인상돼 3년 간 총 6.2% 증가하게 된다. ILO의 2006년 해사노동협약에 따르면 합동해사위원회(JMC)는 유능한 선원의 최저 월 기본임금을 주기적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JMC는 ICS(국제해운회의소)가 조정하는 전 세계 선주들과 국제운수노동자연맹(ITF)이 조정하는 전 세계 선원노조로 구성된 ILO의 양자 기구다. JMC는 이번에 노사 협상이 타결된 만큼 오는 2028년 상반기에 선원 ILO 최저임금을 재논의하게 된다.
지난해 컨테이너선의 탄소배출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홍해 위기'로 톤마일이 증가한 영향이 크다. 시황분석 플랫폼 제네타(Xeneta)와 마린 벤치마크(Marine Benchmark)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컨테이너 배출량은 전년(2억 1,850만 톤)보다 14% 증가한 2억 4,060만 톤을 기록했다. 전체 운송작업(이동된 화물의 톤수×항해 해리)은 지난해 18% 증가했다. 탄소배출량이 가장 크게 늘어난 선종은 대형 컨테이너선으로, 이는 이 선형의 운송작업이 가장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024년 1만 4,500~2만 TEU급 선박에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은 2,420만 톤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2023년 대비 43%(730만 톤) 급증한 것이다. 2만 TEU급 이상의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탄소배출량도 급증해 지난해에 전년 대비 35% 늘어난 1,960만 톤을 기록했다. 제네타의 애널리스트 에밀리 슈타우스볼(Emily Stausboll)은 "탄소 배출량이 의도와 다른 잘못된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며 "2050년 탄소 순제로를 목표로 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목표가 실제로 달성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