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경해운이 중국 양쯔강조선소와 피더 컨테이너선 '2+2척' 신조 계약을 체결했다. 알파라이너(Alphaliner)는 이같이 밝히면서 확정분 2척은 2027년 7월과 8월에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선박 규모는 1,100TEU급이며, 척당 신조가는 약 2,300만 달러다. 천경해운의 신조선 발주는 2023년 9월 CSSC 황푸웬충조선소에 2,700TEU급 컨테이너선 2척을 발주한 이후 약 2년 만이다. 당시 발주된 선박 중 1호선은 올 11월, 2호선은 내년 2월에 각각 인도될 예정이다. 천경해운은 700TEU, 1,100TEU, 1,800TEU급 등의 컨테이너선과 벌크선 등 19척을 운영하고 있다. 천경해운은 그간 동아시아 항로에서 서비스 네트워크를 확장해왔으며, 지난 5월부터는 부산과 블라디보스톡을 오가는 주간 셔틀 서비스를 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시가 조선산업 중심인 창싱다오(長興島, Changxing Island)를 세계 최대 조선기지로 탈바꿈시키는 대형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고 나섰다. 상하이는 창싱다오에서 LNG운반선, 대형 크루즈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 개발에 집중하고, 산업 생태계와 핵심기술 자립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상하이는 17일 ‘2025~2027년 창싱다오 현대 조선기지 건설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첨단 조선·해양장비산업 육성을 위한 5대 중점과제를 제시했다. 5대 과제는 ▲세계적 수준의 고급 장비 개발 ▲핵심 기술 국산화 ▲공급망 체계 강화 ▲디지털·친환경 조선소 구축 ▲기술 혁신 기반 확대 등이다. 상하이는 창싱다오 내 조선·해양산업 생산규모를 오는 2027년까지 1,200억 위안(약 23조 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LNG운반선, 이중연료 추진식 컨테이너선 등 첨단 선박 비중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가급 핵심 연구소 2곳 이상, 시범 생산 플랫폼 1곳 이상을 설립하고, 100개 이상의 부품·장비 전문기업을 유치 또는 육성키로 했다. 특히 LNG선 분야에선 연간 18척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초저온 화물창과 운송·제어시스템 등 주요 장비의
이탈리아 엔지니어링업체 Saipem과 노르웨이의 Subsea7이 지난 2월 양해각서 체결에 이어 최근 구속력 있는 합병계약을 체결했다. '공룡'이 되는 합병사는 사명이 'Saipem7'으로 바뀐다. 양사는 합병 'Saipem7'의 매출은 약 210억 유로(247억 3000만 달러)이며, EBITDA는 20억 유로가 넘는다고 밝혔다. 양사는 공동 성명을 통해 "상호보완적인 지리적 입지, 역량 및 능력, 보유 선대와 기술은 Saipem7의 글로벌 고객 포트폴리오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합병이 두 회사의 각각의 강점을 결합함으로써 고객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Saipem7은 60개국 이상에서 사업과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석유, 가스, 탄소 포집 및 재생 에너지 분야의 고객을 위해 프로젝트 일정을 최적화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시추, 엔지니어링 및 건설부터 현장 수명 서비스 및 해체까지 해상 및 육상 서비스의 전 스펙트럼을 제공하게 된다. Saipem7은 60척 이상의 작업선과 9,000명이 넘는 엔지니어를 포함해 총 직원이 4만 4,000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합병이 완료되면 Saipem과 Subsea7 주주는 각각 Saipem7 주식의 50%를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 11일 열린 제134차 이사회에서 ‘2025 IMO 용감한 선원상(IMO Award for Exceptional Bravery at Sea)’ 수상자로 대한민국의 이태영 일항사를 선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태영 일항사는 2024년 11월 8일, 제주도 비양도 인근 해상에서 전복된 어선 135금성호의 선원 12명을 목숨을 걸고 구조한 영웅적인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결정됐다. 사고가 발생한 2024년 11월 8일 새벽, 135금성호는 갑작스러운 기울어짐으로 전복됐다. 당시 선체 위에는 프로펠러만 수면 위로 드러나 있었고, 일부 선원은 프로펠러에 매달린 채 구조를 기다렸으며, 나머지 선원들은 강한 조류에 휩쓸려 해상에 표류하고 있었다. 이태영 일항사는 자신의 생명을 무릅쓰고 바다에 뛰어들어, 다른 구조 어선에서 던져준 구명환을 물에 빠진 선원들에게 전달하며 적극적으로 구조에 나섰다. 그는 선원 전원이 구조 어선 사다리를 오를 때까지 현장을 지켰으며, 이후 추가 수색 중 물에 떠 있는 심정지 상태의 선원 2명을 함께 구조한 뒤 마지막으로 구조 선박에 올랐다. 이 일항사의 필사적인 구조 활동과 사고 해역으로의 자발적 복귀는 금성호 옆
일본의 '빅3' 선사인 MOL과 NYK, 그리고 K-라인이 선원을 위한 대형 실습훈련선을 신조해 일본해기사교육기구인 JMETS에 기부한다. 3사는 21일 공동 성명을 통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3사는 "이 프로젝트는 해상운송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고도로 숙련된 일본 해기사를 훈련하고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3사는 일본선주협회(JSA)와 협력해 JMETS에 대형 실습훈련선을 기증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갔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JMETS가 불충분한 재정, 연료비용 상승으로 인한 실제 선상 훈련일수 감소, 강사 및 승무원 부족, 동일한 훈련선에서 서로 다른 숙련도와 자격 목표를 가진 학생들을 수용하는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면고 "노후화된 실습훈련선과 학교건물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3사는 2030년에 이 대형 실습훈련선을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스의 미네르바 마린(Minerva Marine)이 25일 피더 컨테이너선 '4+4척'을 중국 조선소에 발주했다. 1,800TEU급으로, 수주 조선소는 양쯔강조선소와 황하이조선소다. 피더 컨테이너선 신조 바람이 불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과 중국 조선소에 1,000TEU에서 6000TEU 사이의 모든 유형의 피더 컨테이너선에 대한 신조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피더 컨테이너선 신조선 발주 선사는 국내의 천경해운을 비롯, 이단 오퍼(Idan Ofer)의 EPS(Eastern Pacific Shipping), MPC(MPC Container Ships), 캐피탈 마리타임(Capital Maritime), 라츠코쉬핑(Latsco Shipping), 키오스 내비게이션(Chios Navigation) 등 줄을 잇고 있다. 이는 컨테이너선 발주의 중심이 초대형 컨테이너선에서 피더 컨테이너선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업계 전문가들은 오더북을 고려하면 선사들이 수 년 내 피더 컨테이너선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한다. 무엇보다 세계 1, 3위 컨테이너선사인 MSC와 CMA CGM이 대대적으로 피더 컨테이너선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들 선사가
인천항만공사(IPA, 사장 이경규)는 21일 인천-징탕(JINGTANG)-황하(HUANGHUA)를 연결하는 신규 컨테이너 항로 서비스(HIS, Huanghua Incheon Service)가 개설됐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한국의 인천항과 중국 허베이 지역의 두 항만을 연결하는 최초의 항로로 중국의 허더항운(Hede(Hongkong) International Shipping Limited)에서 600TEU급 선박 ‘M/V SHAO YUN(샤오윈)’호를 투입하여 주 1.5항차(5일 1항차)로 운영한다. 공사는 항로 개설을 통해 베이징, 톈진을 비롯한 허베이성 지역과 수도권간 물류가 활성화될 것이며, 특히 황하항에서 TCR(중국횡단철도)을 통해 중앙아시아까지 연결이 가능해 중고자동차 수출에도 기여하는 등 연간 5만TEU의 물동량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공사는 향후 신규항로 홍보와 함께 허베이성 지역에 수출입 화물 운송을 희망하는 주요 화주를 대상으로 물동량 유치 마케팅을 추진할 계획이다. IPA 김상기 운영부사장은 “이번 신규항로 개설로 허베이 지역 선복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대중국 수출입 화주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화주 대상 발로 뛰는 마
인천항만공사(IPA, 사장 이경규)는 (유)대부해운(대표 박해진)의 신조선 ‘대부고속페리9호’가 신규 항로인 덕적~인천 간의 운항을 개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 노선은 덕적도에서 오전 7시에 출항해 소이작도-대이작도-승봉도-자월도를 차례로 경유한 뒤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 오전 9시50분에 도착해 약 5시간 이상 체류한 후 다시 섬으로 복귀하는 일정으로 운영된다. 투입 선박은 총톤수 524톤, 여객정원 450명, 차량 35대가 선적 가능한 신조 차도선 ‘대부고속페리9호’다. 이에 따라 섬 주민들이 차량을 이용해 병원 진료, 생필품 구매 등 일상적인 용무를 당일 내에 처리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으며, 덕적도를 비롯한 경유 섬 지역의 1일 생활권 실현과 교통 접근성 개선이 기대된다. 인천항만공사는 신조선 ‘대부고속페리9호’의 첫 취항을 기념하여 해당 항로 첫 입항 여객을 대상으로 환영 인사를 전했으며, 오는 8월부터는 추첨을 통해 취항 섬의 특산품을 여객들에게 경품으로 제공하거나 섬 여행 프로그램을 연계한 다양한 이벤트를 추진함으로써, 신규 항로의 조기 활성화는 물론, 섬 지역 경제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아울러, 신규 항로 운항에 따른 여객 편의 제
HMM(대표이사 사장 최원혁)이 한국으로 수입되는 미국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를 3년 연속으로 가장 많이 운송했다고 22일 밝혔다. 미국 해운조사기관 JOC의 ‘피어스 데이터(Piers Data)’에 따르면 올해 HMM이 한국으로 운송한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는 총 3,062TEU로 이 분야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SM상선(1,779TEU), 3위는 일본의 ONE(1,334TEU)다. HMM은 2023년 시장점유율 25%(2,380TEU)에서 2024년에는 전년 대비 8%p 상승한 33%(2,982TEU)를 달성했다. 2025년에는 점유율을 37%까지 확대하며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 국내에 수입되는 오렌지는 대부분 캘리포니아산으로 통상 1~4월 사이에 운송되는데, 냉장·냉동이 가능한 ‘리퍼 컨테이너(Reefer Container)’로 운송된다.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만큼 고도의 운송 능력이 요구되는 대표적 고부가가치 화물이다. HMM은 일부 글로벌 선사들만 운영하는 ‘울트라 프리저(Ultra Freezer, 영하 60도 초저온 냉동)’를 도입해 고부가가치 냉동 화물 운송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일반 리퍼 컨테이너(Reefer Con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본 간 체결된 무역협정에 미국 조선업에 대한 일본의 투자가 명시됐다. 양국 간 체결된 합의안은 5,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언급하면서 그 중 하나로 조선업을 지목했다. 백악관은 이에 대해 "새 조선소와 기존 시설의 현대화를 포함한 상선 및 군함 신조에 대한 일본의 투자가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일본 조선소의 미국 투자는 이미 수개월간 해운조선업계에서 떠돌던 이야기다. 백악관에서 해양산업 부흥을 지휘했던 이언 베닛도 지난 5월 "일본 기업이 미국 투자 움직임에 참여하고 싶어한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전한 바 있다. 이번에 백악관이 일본에 요구한 투자 분야는 조선과 의약, 핵심광물, 반도체·에너지다. 이 중 조선, 반도체 등은 한국이 글로벌 핵심 역량을 보유한 분야이고, 우리 정부가 미국과 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일본 조선소의 미국 투자는 당연하게 한국 조선의 미국 진출에도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는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 그리고 HJ중공업이 미국 방위산업과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있다"면서 "미국 군함 신조나 MRO에서 한국과 일본이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될 것 같다"고 말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