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안의 부두노동자단체인 ILWU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무계획적이고 파괴적"이라고 비난하는 성명을 냈다. ILWU는 성명에서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으로 미국 해운 노동자들과 미국경제 전반에 심각한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근 몇 주 사이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수입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미국 상품에 125%의 관세로 보복하면서 해운 부문에 영향이 미치기 시작했다. ILWU는 "이같은 관세가 세계무역과 관련된 수십만 개의 일자리에 직접적인 위협을 가한다"면서 "미국 가정이 기본적인 재화와 서비스에 대해 연간 1,600달러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ILWU는 2018년, 2019년에 시행된 이전 관세와 비교하면서 "이러한 조치는 미중 무역수지를 의미 있게 변화시키지 못했으며, 대신 더 높은 비용이 미국 소비자에게 직접 전가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ILWU는 이어 "우리는 대통령의 변덕에 의해 좌우되는 무역정책이 아니라, 노동자 계층을 우선시하고 일자리를 보호하며 미국 국민의 세금을 감면하는 공정한 무역정책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ILWU는 미 서안의 LA항과 롱비치항을 포함해 하와이,
HD현대 조선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유럽 소재 선사와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2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수주 금액은 총 2306억원이다. HD현대미포에서 건조해 2027년 7월까지 인도할 예정이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LPG운반선 2척 발주 선사는 멕시코의 니에토그룹(Grupo Nieto)의 자회사로 네덜란드에서 영업활동을 하는 니에토트레이딩(Nieto Trading)이다. 니에토가 발주한 선박들은 HD현대미포에서 건조된다. 니에토는 지난 2019년에도 3만 8,000cbm급 LPG운반선 '레거시(Legacy)호'(2021년 건조)를 HD현대미포에 5200만 달러에 발주한 바 있다. 한편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총 27척 43억1천만달러를 수주해 연간 목표(180억5천만달러)의 23.9%를 달성했다. 선종별로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1척, LNG 벙커링선 4척, LPG·암모니아 운반선 4척, 에탄 운반선 2척, 컨테이너선 12척, 탱커 4척이다.
트럼프행정부가 촉발한 관세전쟁으로 시장에 불안이 확산하면서 중고 벌크선 매매가 급감하고 특히 중국산 벌크선의 인기가 추락했다. 베슨노티컬(Veson Nautical)에 따르면 올 1분기 벌크선 거래건수는 77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 182건에 비해 58% 감소했다. 가격도 약세였다. 베슨노티컬의 수석 애널리스트인 레베카 갈라노풀로스(Rebecca Galanopoulos)는 벌크선 시세가 거의 모든 선종에서 하락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선령 15년의 8만 dwt급 파나막스 벌크선 가격이 올 1분기 1,440만 달러로 전년 동기(1,850만 달러)에 비해 22% 하락했다. 국가별로 중국산 벌크선 매매는 올 1분기 62건으로 전년 동기(146건)에 비해 크게 하락, 선주들이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분기 일본산 벌크선 매매량이 중국산을 앞지르며 전체의 53%를 차지했다. 중국산 선박의 거래비중은 33%에 그쳤다. 한국산 벌크선은 전체의 14%였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17일 발표한 항만수수료 부과 방안에 대해 선주들 사이에서 "초안보다 처벌이 크게 완화됐다"는 반응이 나왔다. 특히 컨테이너선과 벌크선, 그리고 유조선은 항만수수료 부과에도 큰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그리스 컨테이너선사인 다나오스(Danaos Corp)의 존 쿠스타스(John Coustas) CEO는 "이번 조치는 초안 만큼 처벌이 강하지 않다"면서 "컨테이너선의 경우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며, 이 정도로 컨테이너 사업이 중단될 것으로는 예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리스의 대형 벌크선사인 라비니아(Lavinia Corp) 오너인 파노스 라스카리디스(Panos Laskaridis)도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수료가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덜 심각하다"고 말했다. 그는 석탄을 운송하는 대형 캄사르막스, 케이프사이즈 또는 뉴캐슬막스급 벌크선의 경우 항만수수료가 화물비용의 약 5~6%가 될 것으로 추산하면서 "이 정도는 재앙급이 아니다. 이 정도 화물가격 변동은 드문 일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해운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USTR의 "현재 선대 구성에 따른 어떠한 수수료도 부과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는 문구를 거론하며 초안에 들
MSC가 900척의 선박을 운영하는 최초의 컨테이너선사가 됐다. '900척' 기록은 한 MSC가 최근 LNG추진 1만 6,000TEU급 컨테이너선 'MSC 저머니(Germany호'를 인도받으면서 달성됐다. 이 선박은 2022년 10월 중국조선소에 발주된 12척의 자매선 중 5호선이다. 알파라이너(Alphaliner)에 따르면 이로써 MSC의 선대는 자사선 609척과 용선 291척이 됐다. MSC의 총 선복은 약 647만 TEU로, 2위 머스크(Maersk)에 비해 거의 100만 TEU 더 많다. 알파라이너의 선대 계산에는 구매의무가 있는 장기 나용선과 같은 '준소유' 계약에 따른 선박이 포함됐으며, 이들 선박이 MSC를 통해 관리되는 경우에만 선대로 인정했다. MSC는 이들 선박을 Medlog, Log-In Logistica, WEC Lines 등 자회사들을 통해 운영하고 있다. MSC 선대는 잠재적으로 향후 몇 2년 내 1,000척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MSC의 오더북은 132척이다.
이호<사진> 인천항만공사(IPA) 항만위원이 제12대 IPA 항만위원장에 선임됐다. 이호 신임 항만위원장은 2022년 12월 28일부터 IPA 항만위원으로 활동해왔다. 이번 위원장 선임으로 남은 임기인 올해 12월 27일까지 최고의사결정기구인 항만위원회를 이끌게 됐다. 이호 위원장은 ㈜이수건설 이사 등을 역임하는 등 항만 및 부동산개발 분야의 전문가로 꼽힌다. 이호 위원장은 “견제와 소통·협력이 필요한 위원장으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인천항만공사의 투명성과 공공성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항만발전을 위해 전략적 조언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중국산 선박에 대한 항만수수료 부과로 중국 Cosco그룹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이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지적됐다. 번거롭긴 하지만 항만수수료를 회피할 방안이 있다는 것이다. 알파라이너(Alphaliner)는 USTR의 수수료 정책으로 우선 Cosco와 자회사인 OOCL이 곤경에 처했다고 지적했다. 알파라이너는 "Cosco와 OOCL은 CMA CGM 및 에버그린과 함께 오션얼라이언스(Ocean Alliance) 회원사"라며 "트럼프행정부의 '반중국 관세'는 이 해운동맹에 큰 골칫거리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Cosco그룹의 대책은 CMA CGM과 에버그린 선박의 태평양 횡단 슬롯을 늘리는 협상을 이들 선사와 체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는 "Cosco와 같은 중국 선사는 자사선을 철수시키고 제휴사가 운영하는 수수료 면제 선박의 슬롯으로 대체하면 부담스러운 항만수수료를 피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메이저 선사들은 심각한 운영중단 없이 전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수료 면제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USTR의 항만수수료를 피하기 위해 선사들은 중국산 컨테이
대법원이 동남아항로에 취항 중인 23개 국내외 컨테이너 정기선사들의 해운공동행위에 대한 첫 소송에서 무죄를 내린 고법 판결을 파기 환송하면서 국내 선사들에 비상이 걸렸다. 정당한 공동행위로 여겨온 일이 위법할 수 있다는 것이어서 큰 파장이 예상된다. 업계에 따르면 대법원 특별3부는 24일 에버그린이 제기한 공정거래위원회 과징금 및 시정명령 등의 취소 소송에 대해 원고측의 손을 들어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서울고법으로 사건을 돌려보냈다. 이에 따라 해운공동행위에 대한 공정위 소송은 1년 3개월만에 다시 고법에서 법리를 다투게 됐다. 판결문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핵심쟁점이 '선사들의 공동행위를 해운법 29조에 따른 정당한 공동행위로 볼 것이냐'인 만큼 이 부분에 대해 대법원이 다른 판단을 내렸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해운법 29조는 해운사가 공동행위를 하려면 화주단체와의 협의, 해양수산부 장관 신고, 자유로운 입·탈퇴 등 요건을 충족하도록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부당공동행위로 공정거래법이 적용된다. 이와 관련, 공정위는 선사들이 절차상 120차례 운임합의를 해수부 장관에게 신고하지 않았고 화주단체와 사전에 충분히 협의하지도 않아 불법적 공동행위라고 봤다. 하
물류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알티올(Altiall Inc.)은 오는 22일부터 25일까지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리는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 2025)’에 참가해, 차세대 물류 자동화 플랫폼 ‘ORCA’를 비롯한 주요 기술들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첫 공개되는 ORCA는 알티올이 현대글로비스와의 공동 개발을 통해 완성한 WCS(Warehouse Control System) 개발 플랫폼으로, 복잡한 물류 제어 과정을 혁신적으로 단순화해 누구나 손쉽게 제어 설정을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Drag & Drop 기반의 캔버스를 활용해 물류센터 레이아웃을 직관적으로 구성하고, 화물 속성 부여 및 경로 설정이 가능한 ‘Biz Plan’ 기능을 통해 자동화 제어를 한층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ORCA는 다양한 제조사의 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어댑터 기반의 장비 연동 기능을 갖췄으며, 상위 시스템(WMS)과의 연동을 통해 전체 작업 흐름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도 알티올은 이번 전시에서 다기종 AMR을 통합 제어하는 ‘Cross-platform AMR System
상호관세로 인해 미국 수입물량이 줄어든 상황에 월마트, 홈디포, 타겟 등 미국의 소매업체들이 중국 공급업체에 선적을 재개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미 CNN이 보도했다. 상품 진열대가 텅 빌 것을 우려한 소매업체들이 중국 수입품에 부과된 관세로 인한 추가 비용을 부담키로 한 셈이다. 앞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해 실효 관세율을 약 156%로 높였다. 이같은 요청에 중국 수출업체들은 FOB(Free On Board)를 제안하고 있다. 이는 미국 구매자가 화물이 도착하면 운송비용과 관세를 책임지는 조건이다. 한편 LA항 항만청장인 진 세로카(Gene Seroka)는 29일 한 TV프로그램에 출연, 수입화물이 급감하고 있다면서 "다음 주에 LA항 수입화물은 전년 동기에 비해 1/3 이상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LA항에 기항 중인 컨테이너선은 6척으로, 지난 25일(14척)에 비해 절발 이하로 감소했다. LA항만청에 따르면 5월 한 달 간 선사들은 이미 20척(25만 3,500TEU)의 LA항 기항을 취소했으며, 6월에도 이미 10척(11만 7,500TEU)의 기항 일정을 취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