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 선사들의 신조 발주 부진으로 한국선급(KR)이 지난해 해외선주들로부터 물량을 대거 유치해 실적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KR은 27일 서울 대한상의 회의실에서 이형철 회장과 7명의 본부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해 경영실적과 향후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르면 KR의 지난해 수입실적은 1980억 원으로 2023년(1882억 원)보다 5.2% 증가했다. 등록선대도 2023년 대비 617만 gt(8%) 늘어난 8816만 gt를 기록했다. 경영실적은 이처럼 호조를 나타냈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국내 선사들의 신조선 발주가 크게 부진, 물량 확보를 위해 '악전고투'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전 세계의 신조발주량은 1억 1376만 gt였으나, 국적 선사들의 발주물량은 전체의 1.4%(157만 gt)로 크게 미미했다. 이같은 신조선 발주량은 지난해 KR이 확보한 물량(325만 gt)에도 크게 몿미치는 것이다. KR이 지난해 입급한 주요 선사들로도 노르웨이의 자동차운반전문선사 왈레니우스 윌헬름으로부터 10척을 확보한 것을 비롯, 일본의 도운(Doun)기선, 캐나다의 선주사인 씨스팬(Seaspan), 이스라엘의 자동차운반전문선사 레이쉬핑(Ray Shipp
HD현대1%나눔재단(이사장: 권오갑)이 화가를 꿈꾸는 장애인들의 성장을 돕고 있다. HD현대1%나눔재단은 권오갑 이사장을 비롯한 재단 이사진이 27일(목)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대한사회복지회 ‘마스터피스제작소’ 사업장을 방문해 장애인 화가들을 만났다. ‘마스터피스제작소’ 사업은 장애인에게 수준별 미술 교육을 제공해 화가로서의 꿈을 실현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 HD현대1%나눔재단이 지난해부터 후원하며 시작됐다. 이날 재단 이사진은 장애인 화가들이 교육받는 장소를 둘러보고 작품 활동을 참관했으며, 추후 미술 교육에 활용될 교보재를 직접 제작하기도 했다. 또한, 캔버스와 파스텔 등 교육 및 작품 활동에 활용할 미술용품을 ‘마스터피스제작소’에 전달했다. HD현대1%나눔재단은 지난해 ‘마스터피스제작소’ 사업을 통해 총 42명의 장애인 화가를 대상으로 미술 교육을 진행했으며, 총 3회의 작품 전시회 개최를 지원했다. 특히, 지난 12월에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전시회를 개최해 급여나눔으로 ‘마스터피스제작소’ 사업을 후원하고 있는 HD현대 임직원들에게 장애인 작가의 작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더불어 HD현대1%나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8일 새로운 보호무역정책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무역 패턴과 공급망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 해운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찾아올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해양진흥공사 해양산업정보센터는 최근 발간한 ‘트럼프 2기, 보호무역정책과 해운산업, 위기와 기회’라는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2기의 보호무역정책과 공급망 재편으로 예상되는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국적선사들이 미리 준비하고 대응한다면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해진공은 미국 정책의 근간을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및 공정·상호적인 무역(Fair and Reciprocal Trade Plan) 정책으로 규정했다. 그러면서 향후 트럼프2기로 예상되는 글로벌 무역의 변화를 △차이나엑소더스 △트럼프쇼어링 △뉴쇼어링 등 3가지로 시나리오로 전망했다. ■ 차이나엑소더스 먼저 차이나엑소더스 시나리오는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공급망 대전환이 벌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 미국의 대중국 고율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이 동남아, 멕시코 중심으로 재편되고 한국 수출 경로도 미주향 물동량 일부가 동남아, 중남미를 거치는 경로로 변경될 가능성
세계 최대 LNG벙커링항 자리를 놓고 싱가포르와 로테르담이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해운에너지 컨설팅업체인 랜스다운모리츠(LansdowneMoritz)에 따르면 지난해 싱가포르항은 로테르담항을 제치고 세계 최대 LNG 벙커링항만에 등극했다. 지난해 싱가포르항은 46만 톤, 로테르담항은 42만 4,000톤의 LNG를 벙커링한 것으로 집계됐다. 랜스다운모리츠는 EU의 탄소배출량거래제에 따라 로테르담항이 LNG보급처로 더 인기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면서 이같은 추세가 중기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또다른 변수는 거대한 LNG추진선단을 운영하는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사인 MSC의 움직임이다. 랜스다운모리츠는 MSC가 지난해 아시아에서 LNG를 대량 구매했다고 전했다. 한편 LNG벙커링 공급업체로는 쉘(Shell)과 토탈에너지(TotalEnergies)가 압도적이다. 두 업체는 글로벌 LNG벙커링의 약 50%를 공급하고 있다. 랜스다운모리츠는 이들 '빅2'의 아성에 비톨(Vitol)과 몬자사(Monjasa) 같은 대형 업체들이 진입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중국산 선박에 대한 거액의 항만기항료 부과 방침에도 중국 국영선사 Cosco가 수십억 달러 규모의 대대적인 신조선 발주를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이는 "우리는 끄떡없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읽힌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지난해 약 100척의 신조선을 발주했던 Cosco는 최근 자국 조선소들에 다양한 선종의 선박 70여척에 대한 신조 가격과 인도예정일을 타진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Cosco가 선대 확대 및 개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거대한 신조선 계획을 세웠다"면서 "Cosco그룹 산하의 조선소들의 여러 슬롯을 예약했고, 다른 조선소들에도 잇따라 신조를 문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Cosco의 선단에서 특히 벌크선단이 노후돼 있는데 이는 지난 10년 동안 컨테이너선과 기타 선박 확충에 중점을 뒀기 때문"이라면서 "이번에는 벌크선단을 대대적으로 확충한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여기에는 최대 30척의 뉴캐슬막스급 벌크선 발주가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 따르면 Cosco는 산하 다롄KHI조선소(Dalian Cosco KHI Ship Engineering)에 최대 18척의 파나막스급 유조선, 마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 소속 노동자들이 압도적 찬성률로 지난달 ILA와 사용자단체인 미국해사연합(USMX) 간 체결된 잠정 노사합의안을 통과시켰다. ILA에 따르면 4만 5000명 이상의 노조원들이 25일 99% 높은 찬성률로 2030년까지 새로운 6년 간 시행될 노사합의안을 비준했다. ILA와 USMX는 3월 11일 노사계약에 서명할 예정이다. ILA의 해롤드 대겟(Harold Daggett) 회장은 "이제 우리는 향후 6년간 노동평화를 누리게 됐다"면서 "새 계약으로 사용자측에는 약 350억 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합의안에는 6년의 계약기간 동안 임금을 62% 인상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ILA의 통제를 받는 항구는 뉴욕/뉴저지항을 포함해 36개로, 미국 수입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한편 '홍해 위기'와 트럼프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 등으로 그 어느 때보다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해졌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번 ILA와 USMX 간 노사협상 타결은 물류업체들에는 호재가 될 전망이다.
아시아~북유럽 항로의 컨테이너 운임이 하락세를 지속하자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사인 MSC가 1만 9200~2만 4300TEU 초대형 선박들을 모두 다른 항로로 전환 배치키로 했다. 정기선 시황정보업체인 알파라이너(Alphaliner)는 이를 "깜짝 행보"라고 평가했다.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MSC는 아시아~북유럽을 오가던 초대형 컨테이선들을 모두 아시아~지중해 항로, 그리고 아시아~서아프리카 항로에 전환 배치키로 했다. 대신 MSC는 아시아-북유럽 노선에 1만 4700TEU급 컨테이너선들을 배치할 예정이다. MSC는 기존 해운동맹 '2M'에서 탈퇴해 이달 초부터 주요 동서 기간항로에서 단독으로 컨테이너선을 운영하고 있다. 알파라이너는 MSC의 이같은 선대 변경에 대해 "상하이~북유럽 항로의 선복을 줄이는 것은 운임에 대한 압박을 약화시키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상하이~북유럽 노선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주 TEU당 1,578달러로 올해 첫 7주 동안 44% 하락했다. 알파라이너는 반면 상하이~북유럽보다 길이가 더 짧은 상하이~서아프리카 항로의 스팟운임은 TEU당 약 4000달러로 훨씬 더 높다고 전했다. 한편 해운컨설팅업체인 시인텔리
해양수산부는 2024년도에 비관리청 항만개발사업으로 총 1조 6644억 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유치했다고 26일 밝혔다. 비관리청 항만개발사업은 항만법에 따라 민간이 관리청(지방해양수산청,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 자체 자본으로 항만시설의 신축, 개축, 보강, 유지보수, 준설 등에 관한 공사를 시행하는 민간 투자제도 중 하나다. 민간은 투자비만큼 항만시설을 무상 사용하면서 사용료 등을 징수할 수 있다. 민간이 필요로 하는 항만시설을 빠르게 개발하고 한정된 재정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해수부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마산지방해양수산청 등 11개 지방해양수산청과 7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전년(156건) 대비 약 28% 증가한 200건의 비관리청 항만개발사업을 허가했다. 관리청별로 보면, 지난해 부산해수청 소관으로는 23건, 금액기준 2498억 3600만 원이 허가됐다. 세부적으로는 △부산항 신항 에코물류센터 신축(993억 6400만 원) △부산항 신항 디피월드부산 물류센터 신축(743억 8500만 원) △부산항 신항 미쓰이소꼬코리아 물류센터 증축(482억 3800만 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3개 사업의 금액은 전국 순위에서 5위, 8위, 10위를 차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트랜스가스솔루션(TGS, 이재익 대표)과 함께 KR 본사에 위치한 LNG 추진 및 벙커링 시뮬레이션 센터(LNG Fueled & Bunkering Simulation Center, 이하 KR LSC)에 ‘암모니아 벙커링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 중립 목표에 따른 환경 규제 강화로 해운업계의 친환경 연료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LNG가 전환 연료로 주목받았으나, 암모니아와 메탄올이 차세대 친환경 연료로 떠오르며 상용화를 위한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KR은 2020년 KR LSC를 개소하고, LNG 연료 공급 및 벙커링 시스템 교육, 위험도 해석 등 관련 기술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또한, 2024년 1월에는 메탄올 벙커링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추가 도입하며 대체연료 분야의 기술 서비스 범위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 이번에 구축된 암모니아 벙커링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TGS가 작성하고 KR이 검토한 암모니아 연료 공급 및 벙커링 시스템 설계도면 17종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KR은 LNG 및 메탄올에 이어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은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바닷길’을 함께 만들어갈 핵심인재를 모집하기 위해 오는 28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25년도 제2차 신규직원 채용 입사지원서 접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채용 예정 인원은 총 34명이다. 직렬별 채용 규모는 ▲ 행정직 1명(안전관리) ▲ 검사직 7명(선체 및 기관, 보훈 1명 포함) ▲ 운항관리직 7명(고졸인재 1명 포함) ▲ 공무직 1명(환경미화) ▲ 계약직 18명(친환경선박연구 등 수탁사업, 영문에디터, 홍보업무 지원 등)이다. 선발된 인원은 본사(세종특별자치시 소재) 외 부산, 인천 등 전국 지사·운항관리센터 등 현장 부서에 배치되어 해양안전 확보를 위한 선박검사, 여객선 운항관리 등의 직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번 채용은 개인 역량과 실무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NCS기반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되며, 일부는 사회형평적 채용으로 선발한다. 사회형평적 채용은 국가보훈지원대상 1명, 고졸인재 1명, 장애인 전형 5명 등이다. 입사지원서는 공단 채용 누리집(https://komsa.plusrecruit.co.kr)을 통해 오는 28일부터 내달 14일까지 온라인으로만 접수할 수 있다. 채용 분야별 자격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