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바다의 날을 기념하여 지난 30일(금) 부산 강서구 가덕도 천성항 일대에서 연안정화 활동을 벌였다. 바다의 날은 해양의 가치와 중요성을 되새기고, 해양 산업 발전과 자원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5월 말일로 제정된 기념일이다. 올해로 제30회를 맞이한 바다의 날을 기념하여 BPA 임직원과 부산항 신항 터미널 운영사 담당자 등 총 30여명이 참여해 천성항 인근에 버려진 폐플라스틱, 해변에 방치된 스티로폼 등 생활폐기물을 수거하는 캠페인을 개최했다. 천성항은 오토캠핑장 및 화장실 등 편의시설이 위치한 친수공간으로, 방문객이 투기한 낚시용품, 생활쓰레기 등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BPA는 지난 2022년부터 꾸준히 부산항 신항 인근 천성항 일대에서 자체 연안정화활동을 실시하여 지역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정화 활동에 필요한 마대는 부산시 가덕도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지원했다. BPA 송상근 사장은 “부산항만공사는 지속가능한 부산항 조성과 해양환경보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지역사회를 위한 노력을 적극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HD현대가 세계 최대 조선·해양 박람회서 ‘바다의 탈탄소 전환’을 위한 미래비전을 제시한다. HD현대는 이달 3일부터 6일(이하 한국시간)까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는 ‘노르쉬핑(Nor-Shipping)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박람회에는 47개국 800여 개 기업이 참석하며, 3만여 명 이상의 글로벌 참관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박람회에는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이상균 HD현대중공업 대표, 장광필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장 등 그룹 최고경영진이 참석, 조선·해양산업의 미래비전을 공유할 예정이다. HD현대는 이번 ‘노르쉬핑 2025’의 핵심 테마를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탈탄소 기술의 리더십 확보에 두고, 박람회 기간 다양한 기관 및 단체와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먼저, HD현대는 4일(수) 미국선급(ABS)으로부터 독자 개발한 차세대 고압이중연료(ME-GI) 추진 LNG운반선의 화물 운영 및 연료 시스템에 대한 기본 인증(AIP)을 획득한다. 이 시스템은 극저온 고압 압축기를 대체해 증발가스(Boil-off Gas)를 압축 및 재공급함으로써 화물 손실을 최소화하고, 선주의 운항 효율성과 경제성 향상에 크게 기여
삼성중공업은 2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는 '노르쉬핑(Nor-shipping) 2025'에 참가해 첨단 조선해양 기술과 경쟁력을 홍보한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에서는 최성안 대표이사(부회장)과 오성일 영업본부장, 장해기 기술개발본부장(부사장)이 참석해 주요 선주∙선급, 글로벌 에너지 기업 등을 만난다. 삼성중공업은 행사 기간 중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적용 LNG운반선의 기술 승인과 3카고 탱크 LNG운반선 업무 협약도 체결할 예정이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고효율 연료전지로 전기 변환 효율이 높고, 다양한 연료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 기술이다. 장해기 삼성중공업 부사장(기술개발본부장)은 "이번 행사에서 친환경 선박 기술력과 글로벌 협업 능력을 입증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친환경 선박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올해로 60주년을 맞은 노르쉬핑(Nor-Shipping)이 6월 2~6일(이하 현지시간) 노르웨이에서 전 세계 해운 및 조선업 리더들이 모인 가운데 열린다. 노르쉬핑은 토론, 지식 공유, 혁신 소개, 지속가능한 성공을 향한 미래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관계구축 등을 지원하는 세계적인 플랫폼이다. 격년으로 열리는 올해 행사에는 47개국에서 800여개 해양관련 기업과 단체가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한국선급(KR)을 비롯, HD현대와 삼성중공업, 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 등이 별도의 부스를 꾸려 참가한다. 현지 전시장은 2만 1,000㎡ 규모로 조성됐다. KR에서는 이형철 회장이 직접 참모들을 이끌고 한국선급의 기술적 역량을 과시할 예정이며, HD현대에선 정기선 수석부회장, 이상균 HD현대중공업 대표, 장광필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장 등 수뇌부가 총출동한다. 삼성중공업에서도 최성안 삼성중공업 부회장 등 핵심 간부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또 KOMEA가 조성한 '한국관'에는 강림중공업 등 10여개 국내 조선기자재업체들이 참가한다. 현지에서는 노르웨이선주들이 공식 일정 시작전부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에 대한 불만의
UAE의 GTO인 DP World가 아시아 해운시장에 진출했다. DP World는 베트남의 VIMC라인즈와 협력해 소위 '메콩 익스프레스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내항인 까이꾸이와 심해 컨테이너항인 까이멥을 주 2회 연결한다. 메콩 익스프레스 노선은 약 200km로 기존 노선(367km)보다 크게 짧으며, 운항시간도 기존의 48시간에서 15시간으로 크게 단축된다. 건식 및 냉동 컨테이너를 모두 처리할 수 있으며, 항차당 수백TEU 규모의 화물을 처리하게 된다. DP World는 실시간 화물추적 및 탄소모니터링 서비스가 제공되며, 2026년까지 탄소 순제로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향후에는 DP World가 운영하는 SPCT(사이공 프리미어 컨테이너터미널)과 베트남 해운공사(Vietnam Maritime Corporation) 산하 사이공 히엡푹항(Saigon Hiep Phuoc Port)에도 추가 기항하게 된다. 현지에선 메콩 익스프레스 서비스 출시로 베트남 남부의 경제중심지인 메콩 삼각주의 핵심 경제지역과 남부 호치민과의 연결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MSC가 아프리카에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정기선으로 투입한 최초의 선사가 됐다. 업계에 따르면 MSC는 지난 4월 말과 5월 초 2만 4,000TEU급 컨테이너선 두 척을 '아프리카 익스프레스(African Express)' 서비스를 통해 가나, 토고, 코트디부아르, 카메룬 항구에 기항시켰다. 2만 4000TEU급은 주로 아시아-유럽 항로에 투입돼온 선형이다. 적재량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됐으며, 수에즈 운하 통항 및 북유럽 항만 기항에 적합한 크기를 갖추고 있다. MSC는 아프리카 익스프레스 서비스가 서아프리카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과 중국을 서아프리카와 연결하고 인도에도 기항하는 이 서비스가 서아프리카 국가들의 수입과 수출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이다. 업계에선 아시아-서아프리카 간 무역 및 화물수요가 급증해온 점을 초대형 컨테이너선 투입 배경으로 꼽고 있다. 첫 기항 선박은 지난 4월 말 서아프리카 토고 로메항에 기항한 'MSC Diletta호'다. 이 선박은 2021년 중국에서 건조됐으며 MSC가 중국 금융업체로부터 장기용선했다. 적재 용량은 2만 3,964TEU. 그 뒤를 이어 2023년 중국에서 건조된 2만
인천항만공사(IPA, 사장 이경규)는 한국항만연수원 인천연수원(인천시 서해대로393, 원장 남영우)에서 인천지역 거주 만 40세 이상 중장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운영한 ’제6기 중장년 지게차 양성 과정‘ 수료식을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중장년 지게차 운전원 양성‘ 사업은 화물 운송장비 운전인력 양성사업으로, 올해 6회차를 맞았다. 인천중장년내일센터(소장 임희정)는 지난달 14일부터 16일까지 중장년 구직자가 항만현장을 이해하고, 항만 분야로 원활하게 전직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사전교육을 제공했다. 사전교육에서는 항만현장 소통 방식, 안전의 중요성 등에 대한 내용이 다뤄졌다. 이론·실습 과정은 지난달 19일부터 30일까지 한국항만연수원 인천연수원에서 실시됐으며, 지난달 30일 열린 수료식에는 해당 교육 과정을 수료한 15명의 중장년 구직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교육을 수료한 중장년 구직자들은 현재 실기시험 응시를 준비하고 있으며, 시험에 합격할 경우, 국가기술자격인 지게차 운전기능사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인천항만공사 신재완 이에스지(ESG)경영실장은 “본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지금까지 70명의 지게차 인력을 양성하고 43명의 중장년 재취업을 지원했다”라며
HMM(대표이사 사장 최원혁)이 바다의 날(5월 31일)을 맞아 거잠포해변 정화활동을 실시했다. HMM 임직원과 해양경찰 등 30여명은 지난달 30일 인천시 영종도 거잠포해변에서 폐플라스틱, 어업폐기물 등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주변 녹지공간을 정비하는 등 해양환경보호에 앞장섰다. 이날 정화활동에 참여한 HMM 직원은 “환경보호(Environment), 지역사회 공헌(Social), 글로벌 활동(Global) 등 세가지 방향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진행 중”이라며 “이번 행사는 해운업의 주무대인 해양을 보호하는 활동”이라고 설명했다. HMM은 2023년부터 거잠포해변을 입양해 매년 2회 이상 정화활동을 진행해왔다. 한편, HMM은 해양환경보호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내해운사 최초로 선박에서 발생하는 폐로프를 나일론 원료로 재생산하는 순환체계를 구축했고, 선박에서 발생하는 폐PET병을 재활용하는 ‘인천항 자원순환경제 프로젝트’에도 적극 동참하고 있다.
전체 선박의 41%에 한개 이상의 에너지절감장치가 설치됐다. 클락슨(Clarksons)과 DNV의 대체연료인사이트 플랫폼에 따르면 100gt급 이상 선박 11만 2,700척 중 41%가 최소한 한개 이상의 에너지절감장치를 설치했다. 2020년만해도 이 비율은 28%였다. 클락슨은 "이는 매일 8척의 선박에 하나 이상의 에너지절감장치가 장착돼 왔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클락슨의 지난 5월 데이터에 의하면 운항 중이거나 발주된 선박에서 방향타와 프로펠러 주변의 부속품이 가장 많이 선택됐다. 고무 벌브가 5,443건으로 에너지절감기술 목록에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프리 스월 스테이터 3,654건, 프로펠러 덕트 3,508건, 프로펠러 보스 캡핀 2,988건으로 각각 나타났다. 풍력추진시스템은 70척에 설치됐으며, 발주된 선박은 79척이다. 반면 선체 아래에 공기윤활시스템을 갖춘 선박은 283척이며, 발주 선박은 349척으로 집계됐다. 또 현재 82척의 선박에 보조배터리가 장착돼 있다. 보조배터리 장착 선박의 오더북은 73척이다. 현재 LNG를 추진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은 1,372척, LNG 사용가능 선박은 573척으로 각각 집계됐다. 클락슨은 이를 전
올해 북극항로(NSR) 개장이 5월 말에도 해빙들이 녹지 않으면서 예년보다 늦어지고 있다. 선박들의 출항 채비는 이미 끝났다. 러시아 북극항로관리국은 올해 이미 200척 이상의 선박이 북극항로를 통항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대부분이 쇄빙 화물선들이지만, 일반 가스운반선 6척도 포함됐다. 특히 많은 것은 노바텍(Novatek)이 운영하는 '야말(Yamal) LNG 프로젝트'에서 생산된 LNG를 실어나를 'Arc7급' LNG운반선들이다. 최근 몇 년 동안 가스운반선들은 5월 말부터 북극항로를 통해 LNG를 실어날랐지만 올해는 해빙 면적이 좀체 줄어들지 않고 있다. 데이터제공업체인 아이클란트에너지(Eikland Energy AS)의 셸 아이클란트 전무는 "북극항로 동쪽의 아시아로 통하는 해역이 여전히 비정상적으로 얼음에 뒤덮여 있다"고 전했다. 한편 서방에서 주목하는 것은 제재 대상에 오른 LNG선들이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최소 6척 이상의 '그림자 함대' LNG운반선이 러시아 당국의 북극항로 운항 허가를 받았다. 'Arctic Metagas호', 'Arctic Mulan호', 'Iris호', 'Buran호', 'Voskhod호', 'Zarya호'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