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취업역량 향상을 위한 국제물류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시작됐다. 울산항만공사(UPA, 사장 변재영)는 29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한국국제물류협회 연수실에서 ‘2025 국제물류 청년취업아카데미’ 입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울산항만공사와 창업일자리연구원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국제물류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프로그램에는 국제물류학 전공자 및 물류분야에 취업을 희망하는 38명의 청년들이 참여한다. 오는 12월 까지 이어지는 이번 프로그램은 포워딩, 항공운송, 해운, 수출입 등 실무 중심의 교육이 진행되며, 수료 후에는 한국국제물류협회 회원사 등 물류기업에 취업 연계 기회가 제공될 예정이다. 울산항만공사 변재영 사장은 “이번 아카데미를 통해 청년들의 물류현장 실무역량 및 취업 경쟁력 강화를 기대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과 물류 전문인력 양성에 지속적으로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인천항만공사(IPA, 사장 이경규)는 28일부터 29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인천 연수구 센트럴로 123)에서 열린 ‘제29차 세계한인경제인대회(World OKTA, 인천시 주관)’에 참가해 인천항 홍보부스를 운영하고, 전 세계 한인경제인을 대상으로 인천항의 물류 경쟁력을 적극 홍보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전 세계 70여 개국 140여 도시에서 활동하는 약 4,000명의 한인 경제인과 450개 기업이 참가한 국내 최대 규모의 해외동포 경제 네트워크 행사로, 인천항만공사는 지난 27일 개최된 ‘인천항 설명회’에 이어 해외 화주 발굴과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을 목표로 한 맞춤형 마케팅 활동을 이어갔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 홍보부스를 통해 전 세계 바이어와 기업인들에게 인천항의 물류 인프라, 항만 인센티브 제도, 물류비 절감 방안 등을 안내했으며, 특히 ‘14개국 68개 항만을 잇는 72개 항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인천항의 글로벌 연결성과 경쟁력을 집중 홍보했다. 행사기간 동안 인천항만공사는 참가 기업을 대상으로 B2B 수출입 상담회를 운영, 맞춤형 물류 솔루션과 신규 항로 정보를 제공하며 실질적인 협력 기회와 신규 화주 발굴의 성과를 거뒀다. 특
인천항만공사(IPA, 사장 이경규)가 ‘인천항 아암물류2단지 2단계 조성사업’(인천 연수구 송도동 298, 299번지 일원)이 완료되어 관리청인 인천지방해양수산청으로부터 28일 최종 준공승인을 받았다. 2022년 6월에 착공돼 38개월간 진행된 이번 사업에는 총 888억원이 투입되어 58만 9000㎡(약 17만 8000평)의 물류부지가 새롭게 조성되었으며, 상하수도와 전기·통신 등 주요 기반시설도 함께 갖춰져 항만배후단지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갖추게 됐다. ‘아암물류2단지 2단계 조성사업’은 인천항의 물동량 증가 및 복합물류서비스에 대한 수요 확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기존 1단계 부지의 개발을 통해 조성된 아암물류2단지 내에 물류부지를 추가 개발하였으며,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외 물류·제조기업의 입주 여건을 개선하는 등 인천항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인천항만공사 성낙호 항만건설실장은 “이번 아암물류2단지 2단계 조성사업은 38개월 장기간에 걸친 철저한 공정관리와 품질 확보를 최우선으로 두고 차질없이 마무리되었다”라며, “항만배후단지를 적기에 공급함으로써 인천항이 동북아 물류 중심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하였다.”라고 밝혔다. 아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29일 오전 출근길 직장 내 괴롭힘 및 성희롱 예방 캠페인을 실시했다. 이번 캠페인은 직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 폭력이나 괴롭힘을 예방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안전한 일터를 조성하기 위해 실시됐다. 출근 길 직원들에게 ▲직장 내 괴롭힘 및 성희롱의 대표적인 사례, ▲사건처리 절차, ▲고충상담 창구 등이 안내된 리플렛을 배부하며 임직원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쳤다. BPA 송상근 사장은 “직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괴롭힘과 성희롱 등을 사전에 차단하여 서로 존중하는 안전하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는 이달부터 투명하고 책임 있는 경영체계 강화를 위해 국제표준인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37001) 2년차 인증과 더불어 새롭게 준법경영시스템(ISO37301) 인증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ISO37001은 조직 내 금품수수, 부정청탁 등 부패행위를 예방 ㆍ감시 하기 위한 국제표준이며, ISO 37301은 조직의 법적ㆍ윤리적 의무 준수 여부를 체계적으로 관리ㆍ평가하기 위한 준법경영 국제표준이다. 해진공은 작년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37001)을 취득한 이후, 전사적 반부패 활동과 내부통제 강화 노력을 지속해 왔으며, 이번 인증 심사에서도 청렴리스크 관리 및 청렴활동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이번 준법경영시스템(ISO37301) 신규 인증 취득은 부패방지 중심의 관리체계를 넘어 조직 전반 법규 준수, 윤리경영, 인권 등 준법리스크 관리체계로 확산 등 윤리ㆍ준법경영을 조직문화로 정착 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해진공 안병길 사장은“이번 부패방지와 준법경영 인증은 단순한 유지가 아니라 조직의 신뢰와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핵심 경영가치”라며 “앞으로도 청렴과 준법이 일상화된 조직문화를 정착ㆍ실천하여 국민의
전 세계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가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전체 운항선대의 1/3을 넘어섰다. 조선·해운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반영하는 동시에, 공급망 재편과 친환경 전환 흐름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선박 중개업체 브레마(Braemar)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에서 건조 중이거나 발주된 컨테이너선은 약 1040척, 총 1090만 TEU 규모로 추산된다. 이는 1년 전에 비해 약 7%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전 세계 컨테이너 선대의 33.6%에 해당한다. 정기선시황 분석기관인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는 “컨테이너선 발주 비중이 33%를 넘은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라며 "발주 증가세가 단기간에 둔화될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업계는 향후 수주 간 추가 발주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브레마의 해운부문 애널리스트 조너선 로치(Jonathan Roach)는 “중국과 미국 간 지정학적 긴장이 높아지면서 중소형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가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제조 및 조달 네트워크가 특정 국가에 집중된 구조에서 다변화로 옮겨가면서, 이전에는 초대형 선박이 접근하지 못했던 항만들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관세 정책의 혼란으로 인해 급감하고 있으며, 이 추세는 2026년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블루 알파 캐피털의 컨테이너선 애널리스트 존 맥코운(John McCown)은 최근 보고서에서 “2025년은 미국 항만 물량에 있어 ‘물량 대학살’의 해가 될 것”이라며 장기적인 감소를 경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미국 상위 '톱10' 항만의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했다. 이는 8월의 소폭 증가(0.2%) 이후 발생한 급락으로, 당시 증가세는 8월 7일 개정된 관세를 피하기 위한 선적이 일시적으로 부양한 결과로 분석된다. 맥코운은 “10월 5일 이전에 미국에 도착한 화물은 관세 적용을 피했으며, 대부분의 항로가 2~4주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8월 도착 화물은 면제대상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8월이 역대 최고 선적량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CTS(컨테이너 무역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항만으로 들어오는 물량은 9.9% 감소했다. 반면, 미국 외 지역의 무역량은 증가세를 보이며, 미국이 2024년 가장 빠르게 성장한 수입 시장이었다는 점과 대조된다. 맥코운은 “2025년 초에는 미국과 세계 간의 물동량
일본 조선소만 고집해온 그리스 JHI Steamship이 이번에는 국내의 케이조선에 아프라막스급 원유운반선 2척을 신규 발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JHI Steamship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발주처를 변경한 이유에 대해 궁금해 하고 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JHI Steamship은 최근 케이조선과 11만 5,000dwt급 탱커 '2+1'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척당 선가는 약 7,500만 달러로, 총 계약 규모는 옵션 포함시 약 2억 2,500만 달러에 달한다. 이들 선박은 기존 연료 추진방식으로 건조돼 2027년 말부터 2028년 초 사이에 인도될 예정이다. JHI Steamship은 현재 LR2 탱커 1척과 벌커 5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 조선소에서 케이프사이즈 벌크선 2척(JMU), 캄사르막스급 벌크선 1척(Oshima Shipbuilding), 아프라막스급 탱커 1척(Sumitomo Heavy Industries)을 건조 중이다. JHI Steamship은 그간 “최고급 일본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을 통한 성장 전략”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스미토모중공업(Sumitomo Heavy Industries)이 내년 1분기를 끝으로 상선 건조
28일 수에즈 운하에서 좌초한 코만더(Komander)’호(2004년 건조)는 러시아산 원유를 아시아로 수송하던 제재대상 유조선 4척 중 한척이다. 수에즈운하관리청(SCA)에 따르면 코만더호가 좌초할 당시 이 선대에는 8척의 유조선이 포함돼 있었으며, 그중 절반이 미국·영국·유럽연합(EU) 등 G7 주요국의 제재 명단에 오른 선박들로 드러났다. 해운정보업체 Inchcape Shipping Services와 케이플러(Kpler)의 선박추적데이터에 의하면 이 선대에 포함된 제재 대상 유조선 4척은 러시아 무르만스크·우스트루가·연해주 등지 항만에서 원유를 실은 뒤 아시아로 향하던 중이었다. 좌초한 코만더호는 호송대의 가장 뒤쪽에 위치해 있었으며, 앞서 '프리모리예(Primorye, 15만8,000dwt, 2009년 건조)호', '파테(Pate, 11만6,000dwt, 2007년 건조)호', '로라(Rora, 11만1,000dwt, 2005년 건조)호' 등 3척이 같은 행렬에 포함돼 있었다. 프리모리예호는 러시아 국영선사 소브콤플로트(Sovcomflot) 소속으로, 지난해 10월 미국 정부가 유가 상한제 위반 혐의로 제재한 첫 선박이다. 또한 감비아 국적의 로라호는
파나마운하청(ACP)이 운하의 대서양과 태평양 양측 끝단에 신규 컨테이너터미널을 건설하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파나마 운하의 환적 능력을 연간 500만 TEU까지 확대하고 파나마 항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파나마운하청은 이 프로젝트에 대해 APM터미널, Cosco Shipping Ports, DP World, PSA, Hanseatic Global Terminals 등 글로벌 항만 운영사들과 협의에 착수했다. MOL, CMA CGM, ONE, 에버그린, Hapag-Lloyd, HMM, Maersk, MSC, Zim, Yang Ming 등 주요 해운사들도 이에 대해 참여 의사를 밝힌 상태다. 파나마운하청은 “시장 및 타당성 조사를 거쳐 일반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이후에는 특수 절차를 통해 민간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라며 “해당 절차는 투명하고 경쟁력 있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참여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사업자 선정은 2026년 4분기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약 2.6억 달러의 투자가 예상되며, 파나마 국내총생산(GDP)의 0.4~0.8%에 해당하는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 건설기간 중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