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수십 년간 감소해온 조선 생산량을 2배로 늘리는 대규모 조선업 재건계획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같은 시도는 정부와 민간의 공동투자 및 기술혁신을 통해 실현될 전망이다. 미쓰비시의 조선부문 CEO 우에다 신은 도쿄에서 열린 트레이드윈즈 포럼에서 “지금이 일본 조선업을 되살릴 적기”라며, "연간 생산량을 1,800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자동화, 기술 투자, 인재 육성, 시장 확장, 지속적 혁신이 핵심 전략”이라며, 일본 선박장비산업과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일본의 조선업은 1990년대 한국에 1위 자리를 내준 이후, 2000년대 중국의 급부상으로 3위로 밀려났다. 2023년 기준 일본의 조선량은 1,005만 gt로 5년간 31%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중국과 한국은 각각 3,148만 gt, 1,835만 gt를 기록하며 약 30% 성장했다. 드라이 도크와 슬립웨이 수 역시 194개에서 178개로 줄어들며 인프라 축소가 이어졌다. 또 스미토모중공업, 미쓰비시중공업, 미쓰이 엔지니어링&조선, 사세보중공업을 포함해 일본내 대형 우량 조선소들 중 일부는 상선 건조에서 철수했다. 일본 자민당은 조선산업 복원을 위한 정책 초안
대한조선이 단 열흘 만에 수에즈막스급 유조선 8척을 신규 수주하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벨기에의 Exmar와 그리스계 Advantage Tankers를 포함한 복수의 선주들과 체결된 것으로, 총 계약 규모는 약 6억 8000만 달러(척당 8,500만 달러)에 달한다. 대한조선은 컨테이너선 수주에 실패하자 이후 전략을 수정해 유조선 시장으로 복귀했으며, 이번 성과는 중형 유조선 분야에서의 강력한 입지를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대한조선 측은 “짧은기간 내 8척을 확보한 것은 기존 고객뿐 아니라 신규 고객들 역시 대한조선을 신뢰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Exmar는 2027년 9월부터 2028년 9월 사이에 4척을, Advantage Tankers는 2027년 하반기에 2척을 각각 인도받을 예정이다. 이번에는 Exmar와 Advantage 외에도 두 명의 선주가 각각 1척씩 발주했으나 누군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머스크(AP Moller-Maersk)가 진행 중인 최대 12척 규모의 LNG 이중연료추진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본보 2025년 9월 12일자 "머스크 LNG추진 '컨'선 12척 놓고 韓·中 '격전'" 보도>에서 K-조선이 탈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머스크는 최종 후보로 중국 뉴타임스조선소(New Times Shipbuilding)와 양쯔장조선소(Yangzijiang Shipbuilding)를 선정했다. 머스크는 1만 8,000TEU급 컨테이너선 '6+6척' 발주를 진행 중이다. 초기 수주 경쟁에 중국의 장난조선소(Jiangnan), 헝리중공업(Hengli Heavy Industries), 자오샹쥐중공업(China Merchants Heavy Industry) 등은 물론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뛰어들었으나 K-조선은 가격 경쟁에서 밀린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조선소들은 이들 선박에 대해 한국 조선소들보다 척당 최대 3000만 달러 낮은 가격을 제시했다는 후문이다. 머스크는 지난해부터 LNG 이중연료추진 선박을 발주해 왔으며, 이번 발주건은 머스크의 두 번째 LNG 이중연료 선박 프로젝트에 해당한다. 머스크는 이달 중 '6+6척'
올해 들어 친환경 해운시장에 대한 기대가 꺾이면서 대체연료선박에 대한 신조 주문이 급감했다. 노르웨이선급(DNV)은 올들어 1월부터 9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대체연료선박 192척이 신조 발주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8% 급감한 수치라고 밝혔다. DNV의 월간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주문된 선박 중 LNG연료선이 121척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메탄올추진선 43척, LPG추진선 19척, 암모니아추진선 5척, 수소추진선 4척 등이었다.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이 전체의 63%를 차지하며 대체연료시장을 주도했다. DNV의 글로벌 탈탄소화 책임자인 제이슨 스테파나토스(Jason Stefanatos)는 "대체연료선의 경우 올해 상반기 기록적인 주문 이후, 8월에는 신규 주문이 전무했고 9월에도 활동이 저조했다”며 “3분기 들어 대체연료선 시장의 명백한 둔화가 감지된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IMO의 넷제로(Net-Zero) 프레임워크와 연료별 생애주기 평가 기준에 대한 불확실성이 선주들의 ‘관망 전략’을 부추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9월 한 달간 신규 대체연료선 발주는 14척에 불과했으며, 이 중 12척은 LNG이중연료 추진선으로 컨테이너선 6척, 벌크선
정부와 조선업계가 국내 기술로 제작된 LNG 극저온화물창의 상용화에 재도전한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초기 모델(KC-1)의 결함으로 운항이 중단된 SK해운 소속 LNG운반선 2척에 차세대 국산 화물창(KC-2)을 적용해 개조하는 방안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KC-2가 대형 LNG운반선에 처음 적용되는 사례로 기록된다. KC-1이 실패한 선박은 SK해운이 보유한 17만 4000㎥급 LNG선 ‘SK세레니티호’와 ‘SK스피카호’다. 두 선박은 2018년 삼성중공업이 건조해 인도한 것으로, 국산 LNG 화물창 KC-1이 처음으로 상용 적용된 사례였다. 그러나 운항 중 화물창 내부에 콜드스폿(결빙 현상)이 발생하면서 가스 누출 및 폭발 위험이 제기됐고, 현재는 말레이시아 라부안에 장기 정박 중이다. 정부와 조선업계는 문제해결을 위해 스크렙이 논의되던 이들 선박 2척을 KC-2 모델로 개조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KC-2는 KC-1의 기술적 한계를 개선한 차세대 국산 화물창으로, 현재까지는 소형 LNG 벙커링선 한 척(HD현대 ‘블루웨일호’)에만 적용됐다. 이번 개조가 계획대로 진행되면, KC-2는 대형 LNG 운반선에 첫 상용 적용되는 사례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해사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탈탄소화라는 글로벌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고, 산업 전반의 기술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 전직원 대상 'AI 활용 사내 공모전'을 개최했다. 이번 공모전은 생성형 AI 서비스를 활용한 임직원의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업무 생산성 혁신과 디지털 기술 고도화를 도모하고자 마련됐다. 공모전에는 총 35건의 아이디어가 접수되었으며, 서류 심사와 발표 평가를 거쳐 우수한 성과를 낸 7명을 최종 수상자로 선정하여 소정의 상금을 지급했다. 영예의 최우수상은 'DCS, MRV 보고데이터 적합성 검토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한 이 수상했다. 이 프로그램은 선박의 DCS, MRV 보고 데이터의 적합성을 AI가 자동으로 확인하고, 오류가 검출되면 재작성 요청 보고서까지 생성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매년 수천 척에 달하는 선박 데이터 검증의 업무 효율과 정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DCS(Data Collection System)는 선박 연료 소모량을 매년 기록·보고하는 시스템으로,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 파악이 가능하다. MRV(Monitoring, Reporting, Verification는
방위사업청의 군사 기밀 유출 사고 감점 조치를 1년 연장하기로 결정하면서 HD현대중공업이 법적 조치를 예고했다. HD현대중공업은 30일 "방사청이 주요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칠 결정을 손바닥 뒤집듯 바꾼 데 대해 어떠한 충분한 설명도 내놓지 않았다"고 밝혔다. HD현대중공업은 임직원들이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 사업 관련 개념설계 등 군사기밀을 촬영해 유출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아 보안감점(1.8점)을 받아왔다. 당시 임직원 등 9명이 기소됐는데, 8명은 2022년 11월 판결이 확정됐고 나머지 1명은 2023년 12월 최종 판결이 확정됐다. 방사청은 두 판결을 동일한 사건으로 보고 2022년 11월을 기준으로 올해 11월까지 3년간 보안감점을 적용할 예정이었는데, 법률 검토 결과 두 판결을 분리해서 봐야한다는 판단에 따라 보안감점을 따로 적용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11월까지는 기존 1.8점이 적용되고, 그 이후부터 내년 12월까지 1.2점의 보안감점이 적용된다. 업계 일각에서는 방사청의 결정이 "비상식적"이라는 소리가 나왔다. 이번 방사청 발표는 총 7조8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 사업 방식 결정을 앞두고 나온 것이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 해군의 신형 함정을 “아름답게 만들겠다”며 직접 디자인 변경에 관여할 뜻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위스콘신주에 위치한 핀칸티에리마리네트조선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배를 보고 ‘끔찍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 아름답게 만들어야 한다”며 “비용은 같거나 오히려 줄일 수도 있다. 때로는 더 적은 돈으로도 더 훌륭한 배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신형 선박을 “마치 미사일이 장착된 요트처럼 보인다”고 표현하며, 미 해군이 추진 중인 선박 디자인에 불만을 드러냈다. 이어 “해군을 위해 함선을 재설계할 것”이라고 재차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현장에서 55억 달러 규모의 신규 해군 함정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이 조선소에서 미국의 심장부가 건조될 것이며, 여러분의 손으로 만들어질 것이다. 총 20척의 선박이 포함된 장기 프로젝트이며 향후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버지니아주 콴티코 해병대 기지를 방문한 자리에서는 내년도 국방 예산에 최소 19척의 신형 해군 함정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잠수함, 구축함, 강습상륙함이 포함된다”며 “과거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하루에
삼성중공업은 오세아니아 지역 선주로부터 원유운반선 2척을 2373억원에 수주했다고 30일 밝혔다. 소삭통들에 따르면 이 오세아니아 선주는 그리스 해운재벌 아담 폴레미스(Adam Polemis)이며, 선사는 뉴쉬핑(New Shipping)이다. 이 선박은 2028년 5월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이 수주건을 통해 통영에 본사를 둔 HSG성동조선의 복귀를 지원할 계획이다. 성동조선은 지난 7년간 법정관리 상태였으며, 이번 유조선 건조는 성동조선의 첫 상선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두 회사는 지난 7월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하며 수에즈막스급 선박 건조를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번 계약은 폴레미스가 중국 칭다오베이하이조선소와 진행했던 협상이 결렬된 이후 이뤄졌다. 당시 폴레미스는 16만 3,000dwt급 유조선 2척과 옵션 2척에 대해 논의했으나, 최종 계약은 성사되지 않았다. 삼성중공업은 중국 팍스오션저우산(PaxOcean Zhoushan) 및 베트남 페트로베트남조선소(PetroVietnam Shipbuilding)과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조선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초 TEN(Tsakos Energy N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10월 15일 오후 1시30분부터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KR 디지털 기술 세미나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KR은 디지털 선급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고객의 요구에 부응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I Grand Plan을 수립하고 경영에 도입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AI’s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in the Maritime Industry’을 주제로, AI 기술 적용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제 1세션에서는 △AI 트랜스포메이션의 여정(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유현경 부사장) △AI 에이전트 출항 "MariNote.AI"(KR AI융합센터 장화섭 센터장) △스마트선박 사이버보안 모델 개발(KR 사이버안전기술팀 김준범 팀장) 등 디지털 기술의 실제 현장 적용 사례가 발표된다. 제 2세션에서는 △효율적인 설계를 위한 구조해석 및 평가 자동화(KR ICT솔루션팀 이정훈 선임연구원) △멀티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차세대 설계 및 엔지니어링 시스템 구축(KR AI융합센터 김종오 수석연구원) △선급 및 강선규칙 웹시스템 개발 및 AI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