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ONE(Ocean Network Express)가 DP World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인도 내 냉동 복합운송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텔랑가나주 하이데라바드 인근 팀마푸르ICD에서 나바셰바항(JNPA)까지의 정기 열차 운행을 기반으로 하며, 온도 조절이 필요한 의약품 및 부패성 화물 운송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에 도입된 열차는 40피트 냉동 컨테이너 43개를 실을 수 있으며, 인도 최초의 냉동 복합운송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ONE는 "고정된 철도 일정으로 도로 운송보다 신뢰성이 높다”며 “단일 거래 솔루션을 통해 내륙 출발지에서 항만까지 원활하고 경쟁력 있는 운송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DP World는 “화물을 도로에서 철도로 전환함으로써 안정적인 온도 유지와 선박 연결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며 “이는 의약품의 효능을 보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서비스가 기존에 스리랑카 콜롬보나 싱가포르를 통한 환적에 의존하던 인도 남부 화주들에게 직접 본선 연결의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열차는 매주 목요일 아침 하이데라바드를 출발해 토요일 아침 나바셰바에 도착하는 일정으로 운영되며, 북유
미국의 에너지 메이저 엑슨모빌(ExxonMobil)이 LNG벙커링 시장에 진출한다. 엑슨 모빌은 선사 아베니르LNG(Avenir LNG) 및 에발렌드쉬핑(Evalend Shipping)과 다년 간에 걸친 계약을 체결하고, 각각 1척씩 총 2척의 LNG벙커링선(LNGBV) 신조선을 확보했다. 엑슨모빌은 이를 통해 2027년부터 LNG 해양연료 공급 역량을 본격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아베니르LNG의 선박은 2027년 1분기에, 에발렌드쉬핑의 LNGBV는 같은 해 4분기에 각각 인도될 예정이다. LNG는 기존 선박연료 대비 탄소 배출량이 낮아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해운 업계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엑슨모빌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LNG벙커링 시장에 진입함으로써 친환경 해운연료 공급자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번 계약은 엑슨모빌이 오랜 기간 계획해온 LNG벙커링 사업의 첫 실질적 움직임으로 평가되며, 향후 추가적인 LNGBV 확보 및 공급망 확장 가능성이 제기된다. 엑슨모빌의 사업 규모가 큰 만큼 이번 LNGBV 진출은 글로벌 해운연료 시장의 판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운업계의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넷제로 프레임워크(Net Zero Framework)’ 채택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업계 내 찬반 의견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2050년까지 해운업의 순배출 제로 달성을 목표로 하며, 글로벌 탄소 부과금과 연료기준 설정, 중앙 ‘Net Zero Fund’ 설립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일본, 노르웨이, 덴마크,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싱가포르 등 7개국 선주협회는 공동 성명을 통해 “런던에서 역사를 만들자”며 프레임워크 채택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규제가 없다면 녹색 전환은 지역 규제의 복잡한 패치워크로 전락할 것”이라며, 투자 예측 가능성과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을 위해 프레임워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존 프레드릭센의 Frontline, 조지 이코노무의 TMS Group, 에반젤로스 마리나키스의 Capital Maritime, 안젤리쿠시스그룹(Angelicoussis Group), 사우디 국영 Bahri 등 메이저 선주들은 “현재 형태의 프레임워크는 업계와 소비자에게 과도한 재정적 부담을 줄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중국 국영선사 CULines가 글로벌 공백을 틈타 홍해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후티 반군의 상선 공격 이후 주요 선사들이 홍해 항로 운항을 꺼리는 가운데 CULines가 기회주의적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업계에 따르면 CULines는 오는 29일부터 이집트 소크나(Sokhna)에서 출항하는 새 홍해 서비스(SJA)를 시작한다. 이 노선에는 931TEU급 ‘Sunny 68호’가 투입돼 Sokhna–Jeddah–Aden–Jeddah–Sokhna를 순환 운항하게 된다. Sunny 68호는 기존 중국–홍해 노선(REX)에 배치돼 있었으나, 이번 신규 서비스 개시에 맞춰 중동으로 재배치된다. 현재 CULines는 극동–홍해/걸프 루프 2개, 인도–걸프–홍해 루프 1개, 그리고 지난 4월 시작된 제다–포트수단 노선을 포함해 홍해 지역에서 총 4개 노선을 운영 중이다. 이는 CULines가 아시아 중심의 기존 전략에서 벗어나 중동 및 아프리카 항로로 대거 확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글로벌 선사들은 여전히 수에즈 운하 복귀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에 따르면 수에즈 항로를 우회해 희망봉을 경
세계 최대 피더 컨테이너선인 X-Press Feeders가 덴마크 Unifeeder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며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해운시황 분석기관 알파라이너(Alphaliner)에 따르면, X-Press Feeders는 지난 12개월 동안 선복 용량을 13% 확대했다. 이에 비해 2위 Unifeeder는 9% 증가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에도 X-Press Feeders는 선복량을 21.8% 늘리며 17.9% 증가에 그친 Unifeeder를 제쳤었다. 현재 X-Press Feeders 선복은 20만 TEU를 넘어선 반면 Unifeeder 운영선대는 16만 TEU에 미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피더 운송은 대형 컨테이너선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 항만을 연결하는 핵심 물류 역할을 수행하며, 글로벌 공급망의 효율성을 좌우하는 분야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X-Press Feeders는 아시아, 중동, 유럽 등 주요 항로에서 활발한 운항을 이어가며, 선복 확대와 서비스 다변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자사선 비중이 약 60%로 높은 편이다. 한편 Unifeeder는 최근 항만 운영 간소화를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2025년 이익 마진 개선을 목표로 전략
지난 1일 시작된 미국 정부의 셧다운이 장기화하면서 항공 및 해상 물류에 심각한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 백악관은 셧다운이 미국 GDP에 주당 최대 150억 달러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항공 분야에서는 약 1만 3,000명의 항공 교통 관제사가 급여를 받지 못하고 있어, 시카고 오헤어 공항은 평균 40분, 내슈빌은 최대 2시간의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북부 화물 운송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일부 화물기는 덜 혼잡한 공항으로 우회하고 있다. 미국 항공운송업자협회(AfA)의 Bradon Fried 회장은 “이로 인해 수입 선적이 지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해상 물류 측면에서는 항구와 관세국경보호청(CBP)은 대부분 정상운영 중이다. 하지만 CBP 외 기관의 통관이 필요한 경우 처리가 지연되고 있다. Expeditors는 고객들에게 “CBP 외 기관의 통관이 필요한 경우 일정을 조정하라”고 권고했다. 셧다운으로 인해 CBP는 환급 및 자동교환소(ACH) 기능을 중단했으며, 대부분의 수출허가신청도 일시 중지됐다. 상무부는 시스템 업데이트를 중단했고, 미국 국제무역위원회는 대부분의 무역 구제 조사 및 기술 지원을 중단했다. 제재 허가
글로벌 컨테이너 시장이 올해들어 예상보다 강한 성장세를 보이며, 월간 물동량 기록을 연이어 경신했다. 해운 통계기관인 CTS(Container Trade Statistics)에 따르면 지난 8월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은 1,661만 TEU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이는 5월의 1,659만 TEU 기록을 넘어선 수치다.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물동량이 증가했는데, 이는 글로벌 무역 회복과 공급망 안정화가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8월 기준 4개월 연속 1,600만 TEU를 돌파했으며, 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처음이다. 해운업계는 2025년이 당초 전망보다 훨씬 강한 한 해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항만 운영업체들은 이같은 물동량 증가에 대응해 처리능력 확대와 자동화 설비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컨테이너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유럽 항로에서의 물동량 증가가 두드러진다”며 “올 하반기에도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해양산업의 탈탄소화 흐름 속에서 LNG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가운데 메탄 슬립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이 개발돼 LNG의 해상연료로서의 입지가 크게 강화되고 있다. Kanadevia Corporation, MOL, Yanmar Power Solutions 등 3사는 공동으로 진행한 실증 시험에서 메탄 슬립을 최대 98%까지 감소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험은 MOL이 운영하는 LNG 추진방식 석탄운반선 ‘레이메이(Reimei)호’에서 일본과 호주 간 항로를 따라 실제 운항조건에서 진행됐으며 당초 목표였던 70%를 크게 초과하는 성과를 거뒀다. 메탄 슬립은 LNG 연료 사용시 일부 메탄이 연소되지 않고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현상으로, CO₂보다 강력한 온실가스인 메탄의 배출은 해양 연료로서 LNG의 지속 가능성에 큰 걸림돌로 지적돼왔다. 이번 기술은 메탄 산화 촉매와 엔진 개선을 결합한 방식으로, 육상 시험에서도 93.8%의 감소율을 기록한 바 있다. SEA-LNG 회장 Peter Keller는 “LNG는 현재 배출량을 줄이고, 바이오메탄 및 e-메탄을 통해 순배출 제로로 향하는 실질적인 경로를 제공한다”며 “향후 규제는 이러한 기술
유럽 최대 컨테이너 항만인 로테르담항이 래싱 작업자들의 48시간 파업으로 인해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사실상 중단돼 항만 전역의 컨테이너 운송에 심각한 차질이 초래되고 있다. 파업은 현지 시간으로 8일 오후 8시에 시작돼 10일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이번 파업은 임금 인상과 근무 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의 집단 행동에 따른 것이다. FNV 노동조합은 래싱 작업자들이 7%의 임금 인상과 자동 인플레이션 연동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4% 인상안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FNV 노조는 International Lashing Services와 Matrans Marine Services 소속 전 직원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FNV 대변인 Niek Stam은 “래싱 작업이 없으면 항만 전체가 멈춘다”며 이들의 핵심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머스크(Maersk)는 고객 공지를 통해 APM터미널 Maasvlakte II, Hutchinson Ports Delta II, ECT Delta, Rotterdam World Gateway 등 주요 터미널이 모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로테르담항만청은 파업이 운영에 미치는 영향은 명백하지만, 전체 중단 규모를 추산하기에는
HMM이 액화석유가스(LPG)운반선 시장 진출에 이어 암모니아운반선 분야에서도 본격적인 확장을 예고했다. HMM은 2030년까지 LPG운반선 및 암모니아운반선 총 10척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을 수립하며, 친환경 에너지운송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최원혁 HMM 대표는 이와 관련, “다각화된 선대 구성은 미래 에너지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 전략”이라며, “암모니아는 차세대 연료로서 해운업의 탈탄소화를 이끌 핵심 자원”이라고 강조했다. HMM은 지난해 2월 재무결과 발표 당시 125척의 선박을 소유 또는 운영하고 있었지만, LPG운반선은 단 한 척도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다 3개월 후에 2022년 건조된 4만 cbm급 ‘Guadalupe Explorer호’를 인수하며 첫 LPG선을 확보했다. 이는 HMM의 가스운반선 시장 진입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암모니아는 기존 화석연료 대비 탄소 배출이 적고, 장거리 운송에 적합한 특성을 지녀 해운업계의 차세대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선사들은 암모니아운반선 확보 및 관련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HMM 역시 이 흐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HMM의 암모니아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