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전쟁에도 불구, 중국 항만들이 올 상반기 역대 최대 물량을 처리하는 데 성공했다. 알파라이너(Alphaliner)에 따르면 중국은 올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1억 7000만 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했다. 미국과의 갈등으로 대미 수출은 줄어들었지만 중국발 유럽, 동남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향 물량이 늘어나면서 역대 최대치를 나타냈다. 중국의 10대 항만은 올들어 지금까지 1억 2850만 TEU를 처리해 전체 30대 컨테이너항 물동량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올 상반기 처리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선전항으로 전년 동기보다 10.8% 증가한 1720만 TEU를 기록했다. 세계 최대 컨테이너항인 상하이항은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한 2700만 TEU를 처리했다. 칭다오항과 광저우항 등은 미국의 대중 관세가 부과된 후인 2분기에 1분기보다 더 많은 컨테이너를 처리했다.
미국이 북극 개발의 전초기지로 20년 전 제안한 알래스카 놈(Nome) 심수항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미 육군공병대는 최근 놈항 개발프로젝트 1A단계에 대한 건설계약을 워싱턴주 밴쿠버 소재 키위트 인프라스트럭처(Kiewit Infrastructure West)와 체결했다. 공사금액은 3억 9,940만 달러이며, 1A 단계 공사는 2029년 9월까지 완공 예정이다. 공사는 크게 둑길 조성과 준설로 나뉘어진다. 미 육군 공병대는 "해안경비대의 쇄빙선 등의 기항을 위한 40피트 깊이의 심수항 건설이 목표"라고 밝혔다. 현재 놈항에는 흘수 18피트 이하의 선박만 기항 가능하다. 하지만 미 해안경비대의 쇄빙순찰함 '힐리(Healy)호'의 흘수는 29피트, 새로 인수한 '스토리스(Storis)호'는 34피트에 달한다. 놈항 개발은 미국의 극지 쇄빙선대 확대와 맞물려 있다. 힐리호의 모항인 시애틀의 경우 북극해에서 2000해리나 떨어져 있어 중간 기착지가 절실한 상황에서 놈항이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다. 미 육군은 "놈항 프로젝트는 연구 및 공공안전 목적 뿐 아니라 북극권 군사 주둔을 위한 중요한 중추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1A 단계 공사가 마무
케이조선이 그리스 배너지 마리타임(Venergy Maritime)으로부터 MR 탱커 2척을 추가로 수주했다. 이번 수주분은 지난 7월 계약한 '2+2척'의 옵션 물량이다. 5만 dwt급인 이들 선박의 척당 신조선가는 4800만 달러이며, 2027년 1분기에서 2분기 사이에 인도될 예정이다. 2021년에 설립된 배저지 마리타임은 그간 활동이 뜸하다 지난 4월 이탈리아의 프레무다(Premuda)로부터 2018년 건조된 MR 2척을 사들이면서 업계의 관심을 받았다. 배너지그룹은 국내 해운업계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수십년 간 선박 및 항만 폐기물 관리사업을 운영해왔으며, 폐기물 부문에서는 나름 유명한 업체다.
HD한국조선해양이 마스가(MASGA) 프로젝트의 본격 가동을 앞두고 조선업 사업재편을 통한 K-조선 및 방산 분야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수주 확대에 나선다. HD한국조선해양과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는 27일 각각 이사회를 개최,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 양사 간 합병에 대한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향후 임시 주주총회 및 기업결합 심사 등을 거쳐 올해 12월 통합 HD현대중공업으로 새롭게 출범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재편은 양적‧질적 대형화를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함으로써 시장을 확대, 다변화하는 동시에 최첨단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해 치열해지는 글로벌 시장에서 절대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다. 주요 경쟁국인 중국과 일본 역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자국 내 1, 2위 대형 조선사 간 합병을 최근 완료한 바 있다. 통합 HD현대중공업의 출범은 글로벌 1위 중·대형 조선사 간 합병이라는 점에서 종합 역량의 확장, 시장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차별점이다. 특히 이번 합병은 통합 HD현대중공업이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방산 분야에서 사업경쟁력을 대폭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HD현대중공업은 국내 최다 함정 건조 및
한화그룹의 계열사인 한화해운(한화쉬핑)이 한화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MR탱커) 10척과 LNG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마스가 프로젝트 발표 이후 첫 수주 계약이다. MR 탱커 10척은 필리조선소가 단독 건조해 2029년 초 인도될 예정이다. LNG운반선은 지난 7월 발주된 선박의 옵션분으로, 거제의 한화오션이 공동으로 건조할 예정이다. 이번 발주는 미국산 에너지 수출 시 자국 선박 사용을 의무화하는 미국 통상법 301조 및 존스법 개정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해석된다. 한화오션은 "이들 5만 dwt급 MR탱커들이 미국 존스법 함대 갱신 및 기타 전략적 이니셔티브를 지원"하도록 설계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그룹은 이를 통해 미국 해운 시장에서 안정적인 입지를 다지는 한편, 글로벌 에너지 물류 수송망에서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미국 조선소의 유조선 수주는 10년 만이다. 존스법에 의해 제한된 미국 카보타주 운송에 사용하기 위한 선박의 마지막 발주는 2015년 아메리칸 페틀롤리엄 탱커(American Petroleum Tankers)가 아커 필라델피아(Aker Philadelphia 조선소에 발주한 4척이 마지막이었다.
노르웨이의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탄소 포집·저장(CCS) 프로젝트가 첫 이산화탄소(CO₂) 주입에 성공하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이 프로젝트에는 에퀴노르, 쉘, 토탈에너지 등 3사가 동일 지분으로 참여하고 있다. 유럽 최초의 제3자 CO₂ 운송·저장시설로, 탄소 감축의 상징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노던라이츠에 따르면 처음 주입된 CO₂는 노르웨이 브레빅에 위치한 하이델베르크 시멘트 공장에서 포집됐으며, 액화된 CO₂는 전용 선박으로 운송돼 서부 노르웨이 연안에서 100km 떨어진 해저 2,600m 아래에 주입됐다. 이번 1단계 사업은 연간 150만 톤 규모의 저장 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이미 전량이 계약된 상태다. 유럽에서 노르웨이로의 LCO2 배송은 2026년 시작될 예정이다. 노던라이츠는 1단계 운영을 위해 이미 7,500cbm급 'Northern Pioneer호'와 'Northern Pathfinder호'(이상 2024년 건조) 등 2척의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을 인도받았으며, 중국 다롄조선중공업으로부터 2척을 추가로 인수받을 예정이다. 에퀴노르는 성명에서 “세계 최초의 제3자 CO₂ 운송·저장 시설이 가동되며 유럽 온실가스 감축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가 국내 최대 규모로 개발 중인 부산항 진해신항에 도입을 목표로 AI 기반 항만 인프라 디지털화 기술 개발을 시작한다. 진해신항 개발은 부산항을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ㆍ스마트 항만으로 조성하기 위해 2045년까지 약 14조원을 투입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메가포트로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 정부의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전략'의 핵심사업이다. BPA는 부산항 진해신항 하역장비 통합제어시스템(ECS)과 해양인프라 디지털트윈을 구축하는 용역을 오는 9월부터 18개월 동안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4월 국내 최초의 완전자동화부두인 부산항 신항 7부두 개장 후, 자동화된 하역장비와 터미널 운영 시스템 간 유기적 연결 및 시스템 호환이 향후 과제로써 논의돼왔다 BPA는 이번 용역을 통해 자동화부두 내 주요 하역장비 간 단일화된 지능형 인터페이스를 구축, AI 기반 작업 할당 및 스케줄링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터미널운영시스템(TOS)의 하역 프로세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항만에 인접한 해상의 파고, 기후 등 해상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 및 자료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여 공사 및 터미널 운영 중 월파에
선사들이 10월로 예정된 중국 선박에 대한 미국의 기항수수료 부과에 대응해 서비스노선을 변경하기 시작했다.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것이 골자다.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는 HMM과 ONE, 그리고 양밍(Yang Ming)으로 구성된 '프리미어 얼라이언스'의 경우 지중해와 남태평양 서비스(MS2)를 아시아-지중해(MD2) 서비스와 중동 걸프-미국 걸프만(GS2) 서비스로 분할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ONE는 현재 MS2에 배치된 중국산 컨테이너선 10척을 미국 노선에 투입하지 않을 수 있게 됐다. '오션 얼라이언스' 회원사인 중국의 Cosco는 이미 미국 대신 멕시코에 기항하는 태평양 횡단서비스를 시작했다. ' 또 '제미니'의 머스크(Maersk)는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을 미국과의 무역에 투입하는 것을 피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오션 얼라이언스 회원사인 홍콩의 OOCL은 미국이 중국 선사에 부과하려는 추가적인 항만수수료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했다. 앞서 지난 4월 미 무역대표부(USTR)는 조선 분야에서 중국의 지배력을 억제하고 자국 조선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10월 14일부터 미국 항만에
한국 조선업계가 단일 해상 무기체계 수출 사업에서 역대 최대 수출 기회를 맞이했다. 캐나다 정부는 지난 26일 CPSP(Canadian Patrol Submarine Project) 조달을 위한 적격 공급 업체 2곳을 발표했다. 하나는 독일의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이며, 다른 하나는 한국의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원팀으로 입찰)이다. 앞서 캐나다 정부가 2024년 9월에서 2025년 2월까지 발행한 정보요청서(RFI)에 전세계에서 25건의 응답을 보내왔으며, 이후 수령한 제안서를 검토해 숏 리스트(Short List∙적격후보)가 선정됐다. CPSP는 3,000톤급 재래식 잠수함을 최대 12척까지 도입하는 사업이다. 한화오션은 이번 사업에 현존(핵추진 잠수함 제외) 디젤추진 잠수함 가운데 최강의 작전성능을 가진 3천톤급 ‘장보고-Ⅲ 배치(Batch)-Ⅱ’를 제안했다. 장보고-Ⅲ 배치-Ⅱ 잠수함은 공기가 필요 없는 ‘공기불요추진장치(AIP)’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해 3주 이상 수중 작전이 가능하고 최대 7000해리(약 12900㎞)를 운항할 수 있다. 장보고 III Batch-II 디자인 기준 1척당 수출 선가를 1.3조원으로 가정한 신조 사업비는 16조원
극심한 LNG운반선 '발주 가뭄'에 결국 LNG벙커링선(BV) 발주가 LNG선을 역전했다. 클락슨(Clarksons Research)에 따르면 올들어 1~7월 동안 LNGBV 15척, 대형 LNG선 9척이 각각 발주된 것으로 집계됐다. 신조선 인도 물량이 LNG 신규 생산량을 웃돌면서 용선 시장의 수급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발주 심리를 위축시킨 것이 LNG선 '발주 가뭄'의 주원인으로 거론된다. 선박중개업체 인터모달(Intermodal)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LNG선 부문 현존 선대 대비 오더북 비율은 44%나 된다. 총 5,500만 cbm, 332척이 건조 중이다. 이 중 53척은 올해 말까지 인도 예정이며, 내년에는 100척이 추가로 인도될 예정이다. 반면 LNGBV 수요는 LNG선 인도가 늘어날수록 높아지는 양상이다. 클락슨은 LNG 이중연료 추진선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LNGBV 발주를 부추기는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