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가 최근 발표한 세계 최대 규모 자동차운반선(PCTC) 발주 계획에서 이들 선박을 중국 조선소들이 건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26일 현대글로비스는 2조4922억원을 투자해 1만800CEU급 LNG 이중연료추진 자동차선 12척 확보할 계획이라고 공시한 바 있다. 당시 현대글로비스는 선박 인도가 2027년 9월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라면서도 이들 선박이 어디에서 건조될 지는 밝히지 않았다. 소식통들은 현대글로비스의 신조선이 중국의 광저우국제조선소(GSI)와 상하이와이가오차오조선소(SWS)에서 이뤄지며, 각각 6척의 PCTC를 건조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 소식통은 "현대글로비스가 1만 800CEU급 PCTC의 선주는 아닐 것"이라면서 "대신 한국의 다른 선사나 금융파트너와의 20년 장기용선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발주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PCTC는 선체 길이가 230m로 일본의 최대 PCTC보다 30m가 더 길고, 가로빔도 38m나 되는 것으로 설계돼 1만800CEU의 차량을 선적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의 PCTC 선체길이가 200m 이내인 것은 일본 항만의 제한규정에 따른 것이다. 현재까지 발주된 PCTC
HD한국조선해양이 최근 수주한 유조선 2척의 발주처가 유럽계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인 헤이핀캐피탈매니지먼트인 것으로 확인됐다. 2일 업계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유럽계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인 헤이핀캐피탈매니지먼트(Hayfin Capital Management)로부터 15만8000DWT급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 수주 금액은 2318억원이다. 선박은 메탄올 이중연료추진 유조선으로, 선박용 경유(MGO)와 메탄올을 이중연료로 사용한다. 전남 영암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돼 2026년 3월까지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메탄올은 상온에서 벙커유와 비슷한 액체 상태로 영하 162도인 LNG나 영하 253도인 수소, 영하 34도인 암모니아에 비해 저장과 이송이 용이하다. 강화되는 온실가스 배출량 규제를 충족할 탈탄소 연료 중 하나로 꼽힌다. 안드레아스 포블센(Andreas Povlsen) 헤이핀 캐피탈의 해양 부문 책임자는 "신조 발주는 헤이핀이 주요 다운스트림 원자재 공급망 전반에 걸쳐 탄소 효율이 높은 자산에 집중 투자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신조선 4척은 헤이핀 캐피탈의 자회사 그린하트(Greenheart) 소유로 운용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해양 방산 시장 진출을 통해 ‘초격차 방산’ 솔루션을 확보하려 하는 한화오션이 아시아 시장에도 문을 두드리는 등 영역 확대를 위한 광폭 행보를 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오는 6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태국 D&S(Defense & Security) 2023’ 전시회에 참가, 아시아 방산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선다. 50개국 500개 업체, 35개국 400개 공식대표단이 참가하는 ‘태국 D&S 2023’ 전시회는 아시아 지역에서 손꼽히는 방산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우리나라를 비롯 미국, 이스라엘, 독일, 헝가리, 중국 등의 방산 기업들이 참가한다. 한화오션은 국내 함정건조업체로는 유일하게 2천톤급 수출형 전투함과 태국에 수출했던 3천톤급 호위함, 해외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장보고-III 3천톤급 잠수함, 미래 무인전력지휘통제함을 전시하며 참가한다. ‘태국 D&S 2023’ 전시회가 주목 받는 이유는 최근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 등으로 인근 아시아 국가들의 안보 요구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유럽 제품에 비해 우리나라 방산 제품이 성능과 가격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어, 개발도상국이 많은 아시아
삼성중공업이 HD현대중공업에 이어 두번째로 카타르와 LNG운반선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최근 카타르 도하에서 카타르에너지와 17만4000입방미터(㎥)급 LNG운반선 6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맺었다. 삼성중공업에 확보된 16척의 슬롯에서 6척이 발주된 것이다. 이번에 수주한 LNG운반선은 길이 299m, 너비 46.4m, 높이 26.5m 규모다. 선가는 척당 3000억원 수준이다. 6척의 총 수주가는 1조8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앞서 카타르는 한국 조선소 중 HD현대중공업과 가장 먼저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삼성중공업과 계약을 진행했다. 한화오션에는 12개의 슬롯이 예약돼 있다. 카타르 정부는 현재 연간 7700만톤 수준인 LNG 생산량을 2025년까지 1억1000만톤으로 늘리고, 추가로 2027년까지 1억2600만톤을 증산할 계획이다. 카타르에너지는 선박 확보를 위해 2020년 삼성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등 한국 조선소 3곳과 중국 후동중화(Hudong-Zhonghua) 조선소와 슬롯을 예약했다. 당시 HD한국조선해양 10척, 한화오션 12척, 삼성중공업에 16척의 슬롯을 각각 확보했다. 국내 대형 조선 3사는
HD현대의 막내인 현대삼호중공업이 머스크(Maersk)로부터 1조2000억원 규모의 초대형 암모니아 운반선(VLAC) 8척 수주를 눈앞에 두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삼호중공업은 덴마크 선사 머스크와 약 9만3000㎥급 VLAC 4척을 건조하기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번 거래에는 확정 물량 4척과 옵션분 4척이 포함됐다. 4척의 확정 선박은 2027년까지 분기당 1척의 비율로 인도될 예정이며, 옵션 물량은 2028년에 납기된다. LOI는 수주 전 단계다. 통상 선주사는 발주 전 조선소와 LOI를 먼저 체결하고, 큰 상황 변화가 없으면 최종 계약을 하게 된다. VLAC의 선가는 척당 최대 1억1200만 달러(약 1509억원)로 최대 8척을 모두 수주할 경우 1조2000억원을 수주하게 된다. 4척의 확정 수주가는 6000억원이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 9월 기준 올해 발주된 27척의 초대형 LPG·암모니아 운반선 가운데 70%가 넘는 19척을 수주했다. HD현대중공업은 지난 9월에도 싱가포르 EPS, 그리스 캐피탈(CAPITAL)와 8만8000㎥급 VLAC 4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
중국 저우산신야 수리조선소(Zhoushan Xinya Shipbuilding)가 세계 최초로 전통연료추진 컨테이너선을 메탄올 이중연료추진 선박으로 개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 최대의 민영 수리조선소인 저우산신야 조선소는 머스크(AP Moller-Maersk) 컨테이너선 개조작업을 내년에 할 계획이다. 계약식은 지난 18일 저우산에서 성대하게 이뤄졌다. 외빈으로 저우산시 당위원회 한준(Han Jun) 상무위원 등이, 머스크에서는 브리안 볼즈가르드(Brian Voldsgaard) 이사, 신야조선소에서는 시아 송캉(Xia Songkang) CEO가 각각 참석했다. 저우산신야조선소는 "선박의 이중연료추진으로의 개조는 현재 조선업계의 핫이슈이며 선박수리산업계에서 큰 시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시아 CEO는 “이번 계약은 세계 최초의 컨테이너선 메탄올 이중연료 전환 프로젝트"라며 "신야 조선소의 발전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자 이정표가 되는 사건"이라고 자평했다. 머스크는 앞서 지난 6월 더 많은 선박에서 메탄올을 추진연료로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MAN과 협력해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었다. 머스크는 이미 19척의 메탄올추진 화물선을 건조 중이며, 더 많은 발주
HD현대중공업의 박승용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최근 트레이드윈즈와 인터뷰를 갖고 "기존 가격방침을 포기할 지 고심 중"이라는 속내를 밝혔다. HD현대중공업은 HD한국조선해양(KSOE)의 자회사다. 박 COO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비용 절감과 인력 공급을 위해 해외 조선소를 타깃으로 삼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연말을 석 달여 앞둔 현재 올해 연간 수주 목표인 157억 4000만 달러를 이미 달성했다. 올해 글로벌 수주량의 1/3은 LNG선 신조에서 나왔으며, HD한국조선해양은 계약체결된 LNG선 42척 중 22척을 수주했다. 클락슨(Clarksons’ Shipping Intelligence Network)에 따르면 나머지 20척의 LNG선은 한국과 중국의 다른 6개 조선소가 가져갔다. 박 COO는 현대중공업이 선박 수주와 인도라는 측면에서 '편하다'면서 LNG운반선과 LPG선 계약에서 세계 조선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제 한국조선해양은 비용과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LNG선 건조가격 인상을 모색할 수 있는 위치에 다다랐다.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일부 LNG선의 경우 인도가 2027년, 2028년까지 늘어났다. 하지만 유조선, 컨테이너선
프랑스 CMA CGM이 메탄올 추진 대형 컨테이너선을 또 발주했다. 중국 상하이와이가오차오조선(上海外高橋造船. SWS)은 최근 유럽 컨테이너 정기선사와 92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8척을 2026년부터 2027년까지 인도하는 조건으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주선사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S&P전문가들은 CMA CGM이 발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신조선가는 약 10억 달러로 알려졌다. CMA CGM은 이번 발주가 4번째 메탄올 추진선 신조 발주다. CMA CGM은 지난해 8월 중국 DSIC(Dalian Shipbuilding Industry Corp)에 1만 5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6척을 2025년말까지 인도받는 조건으로 10억 5000만 달러에 첫 발주했다. 이어 올해 2월에 현대삼호중공업에 1만 3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12척을 총 20억 6000만 달러에 발주했고, 3월에는 중국 장난(江南)조선소에 1만 5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6척을 10억 5000만 달러에 발주했다. 이번에 CMA CGM이 9200TEU급 8척을 추가 발주함에 따라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량이 총 32척으로
중국 자오샹쥐그룹(招商局集団, China Merchants Group)이 세계 최초로 메탄올 추진 초대형유조선(VLCC)을 발주했다. 자오샹쥐그룹의 해운자회사인 CMES(China Merchants Energy Shipping)에 따르면 CMES는 지난 15일 중국 DSIC(Dalian Shipbuilding Industry)와 30만 6000DWT급 VLCC 1척을 1억 750만 달러에 2026년 4월 인도받는 조건으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CMES는 지난달 29일 개최된 이사회에서 메탄올 추진 VLCC 신조 계획을 승인받은 데 이어 이번에 DSIC와 정식 건조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세계 최초로 메탄올 추진 VLCC를 확보하게 됐다. 이번에 CMES가 DSIC에 발주한 VLCC는 세계 최초로 메탄올 이중연료 엔진이 장착되는 메탄올 추진선으로 국제해사기구(IMO) Tier III와 EEDI III 배출 기준을 충족하는 친환경 고효율 선박이다. CMES가 메탄올 추진 VLCC 신조를 추진하고 있는 것은 노후화된 VLCC 선대를 친환경 선대로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현재 CMES는 52척의 VLCC 선대를 보유하고 있다. CMES는 최근 선박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삼성중공업이 팬오션과 선박운항 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공동연구를 위해 '포괄적 디지털 솔루션 개발 협력' MOU를 체결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자체 개발한 '디지털 트윈 기반 선박 관리' 플랫폼을 2024년 1월 팬오션의 17만 4000㎥ LNG운반선 '뉴아펙스(NEW APEX)호'에 탑재해 실증을 할 계획이다. 지능형 AI 기술을 활용한 선박 관리 플랫폼은 선박의 운항 정보를 실시간 분석하여 선박 내 모든 시스템의 성능과 장비를 통합 관리하고 최적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해, 선박의 운영비용(OPEX)절감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두 회사는 플랫폼 실증 이후 자율운항 디지털 솔루션 확대 적용을 위한 협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은 "삼성중공업은 자율운항 핵심기술인 디지털 트윈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자율운항 기술을 더욱 고도화 해 글로벌 시장을 리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안중호 팬오션 대표는 "해운분야는 차세대 통신망 구축, 환경규제 대응 및 에너지 절감 필요성 증대로 디지털리제이션(Digitalization) 관점에서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될 분야 중 하나임이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