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가 ‘함정기술연구소’를 출범시키며, 향후 10년 113조 원 규모의 미래 함정 시장을 공략한다. HD현대는 17일 판교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함정기술연구소 개소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김성준 HD한국조선해양 대표, 주원호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 대표, 장광필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장 등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함정기술연구소는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부의 함정기술센터를 확대 개편한 조직으로 HD한국조선해양 내 미래기술연구원 산하 조직으로 운영된다. 미래기술연구원은 HD현대의 R&D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조직이다. 미래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 그룹 내 주요 사업군에 필요한 응용 기술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HD현대는 이번 출범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함정시장에 더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융합 체계를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미래기술연구원이 보유한 전동화, 디지털, 인공지능(AI) 기술의 신속한 접목이 가능해져 미래 함정 원천기술 선점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미래기술연구원은 전기 추진 함정의 핵심인 드라이브(선박 추진용 전력변환장치)를 독자 개
HD한국조선해양과 1만 55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 건조계약을 체결한 선사는 프랑스 CMA CGM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15일 HD한국조선해양은 유럽선사와 총 3조 6천832억 원(26억 6,500만 달러) 규모의 컨테이너선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척당 신조선가는 2억 2,200만 달러다. 업계 소식통은 "CMA CGM이 네오파나막스급 신조선을 무더기로 발주할 것이라는 루머가 지난달부터 업계에 나돌았다"며 "중국조선소에 발주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많았지만 의외로 CMA CGM이 HD한국조선해양에서 슬롯을 찾는 데 성공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에 수주한 12척 컨테이너선은 울산 HD현대중공업과 전남 영암 HD현대삼호에서 6척씩 건조해 2028년 6월까지 순차적으로 선사에 인도할 예정이다. 이 선박에는 LNG 이중연료추진 엔진을 비롯해 폐열회수장치 등 친환경 장비가 탑재된다. 폐열회수장치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해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장비를 말한다. 이번 발주는 CMA CGM이 올들어 처음 낸 것이다. CMA CGM은 지난해의 경우 총 65억 달러 규모의 대형 발주를 낸 바 있다. 지난해 성사된 CMA CGM의 주요 발주건은
주한 미국 대사 일행이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를 찾아 함정사업 분야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HD현대중공업은 15일 필립 S. 골드버그(Philip S. Goldberg) 주한 미국 대사와 놀란 바크하우스(Nolan Barkhouse) 주부산 미국 영사 등이 울산 HD현대중공업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방문에는 HD현대 정기선 부회장과 HD현대중공업 이상균 사장이 동행, HD현대중공업의 주요 사업 현황을 직접 소개했다. 이번 방문은 골드버그 대사가 글로벌 1위 조선사이자 함정 분야 국내 대표 기업인 HD현대중공업을 직접 둘러보고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며 성사됐다. 골드버그 대사 일행은 HD현대중공업의 상선 건조 현장을 시찰한 후 특수선 야드로 이동,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 최신예 초계함 등 건조 중인 함정들과 도크, 창정비시설 등을 살펴봤다. 특히, 미국이 자국 함정의 유지·보수·정비(MRO) 물량의 일부를 해외에서 수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최근 미국 고위급 인사들이 잇따라 HD현대중공업을 방문하면서 미 해군과의 협업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앞서 올해 2월에는 카를로스 델 토로(Carlos Del Toro) 미국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3430억 원 규모의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공시내용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중동 소재 선사와 3430억 원(2억 4,800만 달러) 규모의 초대형 가스운반선(VLGC) 2척 신조선 계약을 체결했다. VLGC 2척은 HD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해 2027년 6월 30일까지 선주사에 인도할 예정이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선박규모는 8만 8,000cbm급이며, 중동 선사는 에너지 거래업체 BGN이다. 이 발주건은 신조선가가 여전히 초강세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척당 1억 2,400만 달러로, BGN이 올 1월 계약한 VLGC(척당 1억 1800만 달러)보다 5% 가량 더 비싸다. 또 이달 초 HD한국조선해양이 수주한 머스크 탱커스(Maersk Tankers)의 대형 암모니아운반선 2척(척당 1억 1,840만 달러)보다도 높다. 올 3월에 그리스의 아틀라스 마리타임(Atlas Maritime)으로부터 수주한 9만 3,000cbm급 LPG추진 VLGC 3척(척당 1억 2,400만 달러)과는 신조선가가 같다.
정부가 HD한국조선해양의 STX중공업 인수 건에 대해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렸다. HD한국조선해양-STX중공업은 선박용 엔진의 핵심 부품 '크랭크샤프트(CS)'에 대한 ▲공급거절금지 ▲최소물량보장 ▲가격인상제한 ▲납기지연금지 조건을 향후 3년간 준수해야 한다.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는 HD한국조선해양㈜이 STX중공업㈜의 주식 35.05%를 취득한 기업결합에 대해 15일 이 같이 결정했다. 결합인수대금은 813억원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자회사 HD현대중공업, HD현대삼호, HD현대미포 등을 통해 ▲선박 ▲선박용 엔진 ▲엔진용 부품 등을 제조한다. STX중공업 역시 선박용 엔진과 엔진용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이다. 작년 8월 HD한국조선해양은 STX중공업의 주식 35.05%를 취득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공정위에 기업결합을 신고했다. 공정위는 HD한국조선해양과 STX중공업이 결합할 경우 엔진용 부품 크랭크샤프트에 대한 경쟁제한우려에 대해 주목했다. 크랭크샤프트는 엔진 내 프로펠러를 동작하는 선박용 엔진의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이다. 국내에서는 HD현대중공업, STX중공업 자회사 한국해양크랭크샤프트(KMCS), 두산에너지빌리티 3개사가 생산한다. 특히 공정
HD현대중공업이 미국 함정 유지보수(MRO) 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위한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HD현대중공업은 최근 미국 해군보급체계사령부(Naval Supply Systems Command)와 함정정비협약(Master Ship Repair Agreement, 이하 MSRA)을 국내 최초로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HD현대중공업은 향후 5년간 미국 해상 수송사령부(Military Sealift Command) 소속의 지원함 뿐 아니라 미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전투함에 대한 MRO 사업 입찰 참여 자격을 확보하게 됐다. MSRA는 미 함정의 MRO를 위해 미국 정부가 민간 조선소와 맺는 협약으로, 미국이 운용하는 함정에 대한 MRO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MSRA를 사전에 체결해야 한다. HD현대중공업은 이번 협약 체결을 위해 지난해 5월 MSRA를 신청한 이후 올해 1월 시설 및 품질 실사를 완료했으며, 3월과 5월에는 각각 보안 실사와 재무 실사까지 마친 바 있다. HD현대중공업은 이번에 미국 정부와 맺은 MSRA를 계기로 연간 20조원 규모의 미 해군 함정 MRO 시장에 본격 진출할 수 있게 됐으며, 나아가 이미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는
HD현대의 조선 부문 계열사인 HD현대삼호가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 발주 증가에 맞춰 선박 접안(接岸)시설을 확충했다. HD현대삼호는 10일 명창환 전라남도부지사, 박홍률 목포시장, 우승희 영암군수 등 지역 주요 기관장과 권오갑 HD현대 회장, 신현대 HD현대삼호 사장 등 회사 및 시공사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돌핀안벽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돌핀(Dolphin)안벽은 육지에 인접한 바다에 튼튼한 기둥 모양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연결한 돌출형 시설이다. 일반 안벽과 비교해 좌우로 선박이 접안할 수 있어 안벽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최근 발주가 증가하고 있는 LNG운반선을 비롯한 친환경 선박은 일반 선박보다 최대 2배 이상 긴 안벽 작업 시간이 필요해, 이에 대응하기 위해 HD현대삼호는 지난해 7월 ‘제2돌핀안벽’ 조성 공사에 돌입한 바 있다. 이번에 준공된 돌핀안벽은 연결도로를 포함한 총연장 530m 규모로 선박 건조작업을 지원하는 대형 크레인 2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안벽 좌우로 2척씩 총 4척의 초대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다. 이로써 HD현대삼호의 안벽 길이는 총 3.6km로 늘어나, 동시에 접안 가능한 선박이 기존 14척에서 1
일본 히타치조선의 자회사인 히타치마린엔진과 IMEX의 엔진배출가스 데이터 변조사실이 드러나자 일본 정부가 MAN 및 WinGD의 라이선스를 포함해 자국내 19개 선박엔진제조업체를 모두 조사키로 했다. 일본 국토교통성(MLIT) 해사국은 히타치조선의 엔진제조업체들이 규정을 완전히 준수할 때까지 인증서를 발급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국토교통성은 이어 "데이터 변조는 신뢰를 추락시키고 선박의 환경 및 안전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히타치조선의 데이터 조작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한 후 8월 말에 더 자세한 내용을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토교통성은 자국내 19개 선박엔진제조업체 전부에 테스트베드 배출 데이터를 조작했는지 조사할 것이며, 9월 말까지 보고서를 제출해 달라고 요청했다. MAN의 일본내 라이선스 업체로는 IHI Power, JFE Engineering, Kawasaki Heavy Industries, Hanshin Diesel Works,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Makita 등이 있다. 또 WinGD의 라이선스 기업으로는
HD현대미포가 그리스 바피아스(Vafias)가문 소유의 브레이브 마리타임(Brave Maritime)으로부터 석유화학제품운반(PC)선을 수주했다. HD는 8일 오세아니아 선사로부터 1억 800만 달러(1495억 원) 규모의 50K PC선 2척 신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으며,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 오세아니아 선사는 브레이브 마리타임이다. 인도예정일은 2027년 3월이다. 그리스 선주 해리 바피아스는 HD현대미포와 오랫동안 인연을 맺어왔으며, 이번에 발주한 선박들은 그가 HD현대미포에 발주한 10, 11번째 선박에 해당한다. 바피아스 가문은 2010년 중국 조선소들과 거래를 중단한 후 한국 조선소와 관계를 맺어왔다. 현재 바피아스 가문은 벌크선, LPG운반선, 유조선 등 86척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이 말레이시아 MISC와 LNG운반선 2척 신조계약을 위한 의향서를 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두 업체 간 LNG선 신조 계약의 상세한 세부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면서 "이는 MISC가 새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페트로나스의 이익을 위해 단순히 LNG선 발주로 복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MISC는 그간 수년 간에 걸쳐 LNG선 건조를 위해 여러 조선소를 방문해왔으며, 선박사양에 대한 다양한 기술적 문제들을 살펴봐왔다. MISC는 또한 NYK, K-라인, China LNG Shipping 등이 포함된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 컨소시엄의 파트너로 일련의 LNG운반선을 건조를 모색하고 있다. 클락슨의 SIN에 따르면 MISC는 현재 30척의 LNG운반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2척은 터미널에서 부유식 저장장치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