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양밍(Yang Ming Marine Transport)이 한화오션에 발주한 LNG 이중추진 컨테이너선 7척<본보 2025년 7월 17일자 <한화오션, 양밍 컨선 7척, 2조 2500억 수주' 보도>이 '암모니아 Ready'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밍의 이번 계약은 대만 최초의 암모니아 Ready LNG 이중추진 컨테이너선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양밍은 이와 관련, “암모니아 이중연료추진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설계를 통해 탈탄소화 전환 기간 동안 높은 운영 효율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국제 온실가스 규제에 대응하고 친환경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주된 선박은 미국선급(ABS)으로부터 ‘Ammonia Fuel Ready Level 1C’ 인증을 받았으며, ABS와 한화오션은 세계 최초로 1.0 bar 설계 압력을 갖춘 Type-B LNG 연료탱크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 연료탱크는 기존 0.7 bar 설계보다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향후 육상 전력 규제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양밍은 메탄올 연료에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일본 니혼조선소에 8,000TEU급 메탄올 R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정부 주요 국정 과제로 발표된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K-해양강국 건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5일(월) 부산항만공사 사옥에서 북극항로 전문가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BPA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극지연구소,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 4개 기관이 참석한 이번 간담회는 북극항로 전략 수립을 위한 정보 공유 및 북극항로 현황 분석에 방점을 두고 진행됐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북극해 해빙 예측정보 공유, △친환경 쇄빙선 건조, △북극항로 정책 동향 분석, △BPA 친환경 연료 벙커링 터미널 구축 사업화 방안 등이 논의되었으며, 부산항 중심의 기민하고 종합적인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BPA 송상근 사장은 “지금부터의 5년이 앞으로의 50년의 물류지도를 바꿀 골든타임이다”며, “부산항이 북극항로 거점이 되도록 적극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중국의 최대 선사인 Cosco가 중국 선전(Shenzhen)과 싱가포르에서 대규모 '쌍둥이' 항만 투자를 통해 공급망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Cosco는 15일 홍콩의 자회사 Cosco Container를 통해 Shenzhen Port Logistics Group, CCCC Fourth Harbour, CoscoCOSCO Shipping Logistics(광저우)와 합작 투자계약을 체결하고 ‘Shenzhen Cosco Shipping Smart Supply Chain’을 설립했다. 이 법인의 총 자본금은 10억 위안(약 1억 4000만 달러)이며, Cosco Container는 37%의 지분을 보유한다. 신설 법인은 다기능 창고, 콜드체인 보관소, 세관 감독시설, 다기능 물류단지를 기반으로 선전의 옌톈 지역에 수집 및 유통 허브를 구축할 예정이다. Cosco는 이번 프로젝트가 주강 삼각주 지역 내 입지를 강화하고 디지털 공급망 구축을 위한 전략적 행보라고 설명했다. 같은 날, Cosco는 싱가포르에서도 의미있는 투자협력을 발표했다. 세계 최대 환적 터미널운영업체인 PSA와 MOU를 체결하고, 2027년 개장을 목표로 ‘PSA Supply Chain Hub @
KSA·한국해운조합은 11일 국립해양수산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서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내항해운의 현안 해결과 제도개선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했다. 이날 면담에는 조합 문충도 회장을 비롯한 업종별 △이정덕(여객선) △류방하(화물선) △원대인(유조선) 부회장과 이채익 이사장이 함께 참석해 업계 의견을 전달했다.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내항상선 선원 비과세소득 확대 추진 : 고령화 및 인력 감소로 필수 인력 확보마저 어려운 현실에서 신규 인력 유입 확대를 위한 세제 지원 필요성 강조 ▲ 선원 근로환경 개선 지원사업 : 청년 선원의 안정적 유입과 생활 보장을 위한 근로조건 개선 정책 추진 ▲ 연안해운 우수선화주 세제지원 : 선박 현대화, 친환경 산업 전환, 선박투자 활성화 등을 위해 내항선사의 장기운송계약 환경 조성 필요 ▲ 외국인 선원 관리지침 합리화 : 외국인 선원 고용의 효율성 제고와 합리적 관리 방안 시행 필요. 특히 내항상선 선원 근로소득 비과세 확대와 관련해 조합은 “이미 대통령 대선공약에 포함된 사안인 만큼, 이번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제도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업계의 절박한 현실을 강력히 호소했다. 이에 전재수 장관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