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각투자 플랫폼은 음악 저작권, 미술품, 콘텐츠, 한우 등 다양한 자산을 조각투자할 수 있는 것들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부통산 조각투자 플랫폼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해외 선박 조각투자 사례
국가 | 사례 | 특징 |
---|---|---|
홍콩 | FUJI LNG선 투자 프로젝트 (2022~2024) | LNG 운반선에 대해 일반 투자자들이 지분을 나눠 투자함. 안정적인 수익성과 친환경 선박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음. |
두바이 | 선박 자산 토큰화 프로젝트 (2023~) | 블록체인 기반으로 선박 자산을 토큰화하여 거래 가능하게 함. 디지털 자산 시장과 해운 산업의 융합 사례. |
싱가포르 | 조각투자 검토 사례 | 정부 차원에서 선박 조각투자 모델을 검토했으나, 규제 및 시장성 문제로 중도 무산된 사례도 있음. |
영국 | 조각투자 플랫폼 시도 | 일부 스타트업이 선박 투자 플랫폼을 시도했으나, 투자자 보호 및 유동성 문제로 지속되지 못함. |
해외에서는 주로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된 형태로 선박 조각투자가 시도되고 있으며, 친환경 선박이나 고부가가치 해양자산을 중심으로 투자처가 선정되는 경향이 있다.
▣ 국내 주요 조각투자 플랫폼 TOP 4
플랫폼명 | 특징 | 투자 자산 | 누적 투자 규모 |
---|---|---|---|
카사(Kasa) | 국내 최초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 | 상업용 빌딩 중심 | 약 592억 원 |
소유(SoYou) | 지역 기반 투자 + 실물 혜택 제공 | 로컬 상가, 음식점 등 | 약 340억 원 |
펀블(Funble) | 프리미엄 자산 중심 + 이벤트 혜택 | 랜드마크 부동산 (롯데월드타워 등) | 64억 원 이상 |
비브릭(Bbrick) | 부산 특화 + 블록체인 기반 | 부산 상업용 부동산 | 지역 한정 상품 운영 |
플랫폼별 특징 요약
-
카사
-
분기별 임대 수익 배당
-
공모가 대비 일정 수익률 이상이면 매각 총회 개최
-
투자자 보호 시스템이 체계적
-
-
소유
-
투자자에게 실물 혜택 제공 (예: 매장 할인, 무료 음료 등)
-
지역 밀착형 투자로 경험 중심
-
-
펀블
-
고급 자산 위주 상품 구성
-
숙박권, 입장권 등 프리미엄 혜택 제공
-
해외 진출도 활발
-
-
비브릭
-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기반
-
디지털 집합투자증권(DREF) 방식
-
대출을 끼고 투자 가능
-
투자 시 유의사항
-
일반 투자자는 연간 최대 2,000만 원까지 투자 가능
-
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
-
수익률은 자산 가치와 공실률에 따라 변동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