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4.3℃
  • 구름많음강릉 26.3℃
  • 구름조금서울 23.5℃
  • 맑음대전 24.9℃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24.1℃
  • 맑음광주 23.2℃
  • 맑음부산 19.5℃
  • 맑음고창 23.4℃
  • 구름많음제주 18.8℃
  • 구름조금강화 22.3℃
  • 맑음보은 24.4℃
  • 맑음금산 25.7℃
  • 맑음강진군 22.7℃
  • 맑음경주시 26.9℃
  • 맑음거제 21.1℃
기상청 제공

해운/항만/물류

박정석 해운협회장, “韓 해운 반도체처럼 국가전략산업 지정해야”

해양기자협회-해운협회 간담회. ‘우수해기사·친환경·디지털’ 3대 과제 설정

  • 등록 2025.04.28 15:34:03

 

 

트럼프발(發) 무역전쟁으로 글로벌 공급망 대응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면서 해운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의 대다수를 해운이 담당하는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 해양 패권 전쟁에 휘말려 해운 경쟁력을 잃게 되면 국가 산업 전반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박정석 한국해운협회 회장은 28일 서울 여의도 해운빌딩에서 한국해양기자협회와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나라는 사실상 섬나라로 수출입 화물의 99.7%를 해상 운송에 의존한다”며 “해운의 중요성은 반도체 못지않지만, 아직 널리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미국이 최근 해운을 국가 필수 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정부 지원책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는 “트럼프 정부는 미국 선박법(Ships for America ACT)을 통해 전략안보선대를 250척까지 확대하고 자국 해기사를 5000명 확보하는 등 해상 공급망 확보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자국 해양·조선업 부흥을 위해 중국에 대한 고강도 제재도 병행하고 있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17일 미국으로 입항하는 중국 선사와 중국 소유 선박에 순톤수 당 50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규제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우리 해운업계에 반사이익이 예상된다. 국내 해운사들은 중국산 선박 보유 비중이 높지 않아 입항 수수료 타격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국적선사인 HMM의 컨테이너선 82척 중 회사가 보유한 중국산 선박은 3척에 불과하다. 다른 회사들도 보유한 중국산 선박을 다른 항로로 우회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문제는 중국이 이에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양창호 해운협회 상근부회장은 “중국이 자국 선박만 입항을 허용하는 보복 조치를 내릴 경우 중국 비중이 높은 우리 해운업과 수출 산업 전반에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또한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반사이익보다 물동량 감소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더 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글로벌 교역량이 감소하면서 이 같은 우려는 현실화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미중 무역분쟁에서 살아남으려면 해운 경쟁력 강화를 우선해야 한다고 박 회장은 강조했다. 그는 “(우리 해운 경쟁력이 약화해)컨테이너선과 같은 중국 주력 선종을 이용하면 된다는 말은 반도체를 수입해서 쓰면 된다는 말과 같다”며 “한국 조선소에서 건조한 선박과 우리 국적 해기사를 통해 운영하는 필수 선대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운협회는 정부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미국 정부의 USTR 조치와 관련한 대응 방안을 함께 논의 중이다. 양 부회장은 “코로나19 이후 물류대란으로 물건을 생산해 놓고도 배가 없어 수출을 못 하는 상황이 반복된다”며 “해운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격상해 정부가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협회는 올해 3대 중점 추진 과제로 △우수 해기사 확보 △친환경 △디지털화를 꼽았다.

 

특히 해기사 확보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 국내 해기사 1만1000여명 가운데 한국인은 7300명, 외국인은 4000명으로 외국인 비중이 높은 편이다. 2034년에는 운항 선박 증가에 따라 추가로 4000명의 해기사가 더 필요해 인력난이 우려된다.

 

박 회장은 “새 정부의 국정 과제에 해운 관련 공약이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며 “해운업계가 당면한 도전 과제를 극복하고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한 뒤 쌍용양회 그룹조정실, 쌍용증권 런던사무소 등에서 경력을 쌓고 1992년 KCTC에 입사하면서 본격적으로 해운업에 발을 들였다. 2007년 고려해운 대표이사에 취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