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해운업계의 시선이 국제해사기구(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 쏠리고 있다.
7일(현지시간) 런던에서 회의가 시작된 MEPC에서 176개 회원국들은 2050년까지 해운업을 완전 탈탄소화하는 규정을 도출하기 위해 이번 주 후반까지 토론을 이어가게 된다.
아르세니오 도밍게스(Arsenio Dominguez) IMO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 언론브리핑을 통해 "이번 주에 MEPC에서 탄소배출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나는 B계획에 따라 일하지 않는다. 우리에게는 A계획이 있고, 그게 우리가 가는 길이다. 백업 계획은 없고,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IMO는 이번 주말까지 탈탄소 프레임워크에 합의하고, 오는 10월 MEPC에서 최종 방안을 채택해 발표하는 것이 목표다. 핵심은 탄소 배출에 부과금을 메기는 것이며, 이를 얼마로 하느냐다.
MEPC에 앞서 지난주 이틀간 열린 실무그룹회의에서 회원국들은 전면적인 온실가스 부과금 대신 크레딧시스템을 포함하는 2단계 탄소 메커니즘 방식으로 방향을 약간 수정했다.
도밍게스도 "지금 타협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지난주 제안된 방안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번에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의무가격이 부과될 것이고 이를 통해 오는 10월 최종 방안이 채택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태평양 도서국가들은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규정한 새 법안에 합의할 의향이 있다면서 2단계 탄소메커니즘에서 최상위 단계를 100%로 설정하는 경우에만 이를 수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피지, 투발루, 마샬제도, 바누아투, 솔로몬제도 등 태평양 도서국가 장관들은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설명했다.
태평양 도서국가들은 그간 이산화탄소 1톤마다 최소 150달러의 탄소배출 부과금을 요구해왔으며, 마샬제도의 해양탈탄소화 특사인 알본 이쇼다는 "우리는 실무그룹 의장이 제안한 2단계 시스템에 동의할 수 있다"면서 "턴소 1톤의 배출량을 100% 가격책정하는 데 최소 톤당 150달러가 적용돼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쇼다는 "이것이 바로 기후과학, 경제모델링, 정의가 요구하는 바"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은 부산물일 뿐이며 태평양 도서국가들이 수입을 늘리려고 하는 것과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중국,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등 타 국가들은 한자릿수 백분율을 제시하면서 태평양 도서국가들이 타협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