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 주최 '2025년 상반기 중소선사 CEO 간담회'가 성황을 이뤘다. 29일(목)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중소선사 CEO를 대상으로 열린 이날 간담회에서 해진공은 △중소선사 특별지원 프로그램 개정안 △대출이자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 등의 중소선사 특화 지원 프로그램 및 그외 공사 사업들을 상세히 소개했다. 이어 외부 전문가 강의로 △MEPC 83차 회의와 IMO 규제방안(한국선급 김회준 수석) △디지털전환 및 AI와 해운산업(한국해양대 윤희성 교수)이 진행됐다. 마지막으로 참석한 중소선사 CEO들의 애로사항 청취 및 토론 시간이 있었다. 한 참석자는 “해진공 설립 이후 해운산업의 특수성과 실효성을 고려한 다양한 지원이 이어져왔으며, 이러한 노력이 중소선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있다"고 말했다. 안병길 해진공 사장은 “우리나라 해운산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류할 수 있어 아주 뜻깊었다”라며 “오늘 접수된 애로사항을 향후 계획 수립 시에 반영하여 중소선사 맞춤형 지원 정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28일(수) 올카고유엘에스터미널(주)가 부산항 신항 웅동 배후단지 내 34,774㎡(약 1만평) 규모 부지에서 개장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글로벌 물류기업인 엔터프라이즈 올카고(Allcargo) 그룹과 이씨유월드와이드(ECU Worldwide)가 약 100억원을 투자하여 합작 설립한 올카고유엘에스터미널(주)는 미·중 관세전쟁 등의 글로벌 공급망 혼란상황 속에서도 부산항에 첫 물류센터를 개장하며 국내외 물류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인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올카고 그룹은 글로벌 전략에 따라 지난 2005년 벨기에의 이씨유월드와이드를 인수한 명실상부한 전 세계 No.1 LCL 콘솔전문기업이다. 자회사인 이씨유월드와이드 또한 40년의 전통과 역사를 보유한 글로벌 물류기업으로 전 세계 300여개 지점을 통해 해상, 항공운송 등 양질의 글로벌 물류서비스를 제공한다. 올카고유엘에스터미널(주)는 이번 물류센터 개장에 따라 부산항 신항 항만배후단지에서 향후 30년간 글로벌 네트워크와 연계한 LCL, TS 화물 및 Sea&Air 화물 서비스 공급 등을 통해 연간 3만 TEU 이상의 화물을 처리하며 고부가가
HD현대중공업이 지난해 카타르 선사 나킬랏(Nakilat)으로부터 수주한 17척의 LNG운반선들 중 1호선 건조에 들어갔다. HD현대중공업은 최근 1호선(선체번호 3476) 강재 절단식을 열었다. 카타르에너지는 지난해 LNG선 2차 발주프로그램에 따라 나킬랏과 17만 4,000cbm급 LNG선 25척 용선계약을 체결했으며, 25척 중 17척이 HD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된다. 나머지 8척은 한화오션에서 건조된다. 한화오션은 이보다 앞서 지난 3월 1호선 강재 절단식을 갖고 건조에 들어갔다. 나킬랏의 오더북은 LNG운반선 36척, LPG/암모니아운반선 4척 등 40척이다. 이들 선박이 모두 인도되면 나킬랏은 LNG운반선 105척을 포함해 114척의 선대를 운영하게 된다.
중국 국영선사 Cosco(Cosco Shipping Bulk)가 자국 Citic FL(Citic Financial Leasing)과 협력해 벌크선 30척 신조 계약을 체결했다. 금액으로는 최대 15억 달러 규모다. 신조계약에 따라 Citic FL는 최근 8만 dwt급 다목적선 '15+15척'을 푸지안마웨이(Fujian Mawei)조선소에 발주했다. 이들 선박은 2027년부터 2028년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Cosco가 선박 운영을 맡았고, Citic FL은 선박건조 자금을 조달했다. 업계 소식통은 "이번에 발주된 선박은 컨테이너, 벌크화물, 목재펄프 등 다양한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돼 표준 캄사르막스급 벌크선보다 신조선가가 훨씬 높다"며 "화물창이 강화되고 선박에 크레인이 장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Cosco는 신조선 발주를 위해 리스회사와 적극 협력하고 있다. Cosco는 앞서 지난해 Everbright Financial Leasing과 협력해 캄사르막스급 벌크선 10척을 발주한 바 있다. 이들 선박은 8만 2,000dwt급 벌크선으로, 장쑤한통중공업에서 건조되고 있다.
일본 MOL이 자사 LNG운반선 3척을 '그림자 함대'에 포함시키면서 제재대상에 올린 EU의 조치에 대해 이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들 LNG선은 모두 한화오션이 건조한 것으로, 러시아 북극 야말(Yamal) LNG프로젝트에서 생산된 화물을 아시아로 운송해왔다. MOL CEO 타케시 하시모토는 "야말 LNG 프로젝트에 이용된 다른 선박과 우리 배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면서 "왜 우리선박만 그림자 함대에 포함됐는지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MOL은 제재 이후 일본 외무성과 협조해 EU에 이의를 제기해 놓은 상태다. 하시모토는 "우리의 입장이 정당하다고 확신한다"면서도 "하지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MOL에 따르면 한화오션에서 지난해 인도한 17만 4,000cbm급 쇄빙 LNG선 'North Moon호', 'North Light호', 'North Ocean호'는 당초 노바텍(Novatek)이 개발 중인 '악틱(Arctic) LNG-2 프로젝트'의 생산물을 운송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미국과 EU가 악틱 LNG-2 프로젝트를 제재하면서 MOL에 이들 선박을 이 프로젝트에 투입할 수 없다고 지적하자 이후 자매선
대만의 양밍(Yang Ming)이 향후 7년 동안 선대 규모를 60% 늘리기 위한 초대형 투자계획을 밝히면서 조선업계의 '큰손'으로 부상했다. 양밍의 차이 펑밍(Tsai Feng-Ming) 회장은 최근 이같은 내용의 중장기 신조선 계획을 밝히면서 처음으로 2만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발주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양밍은 2032년까지 선대를 현재의 71만 TEU에서 110만~130만 TEU로 40만~60만 TEU확대키로 했다. 이같은 확대폭은 현재 선대의 60%를 웃도는 것으로, 이를 통해 양밍은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현재 2.2%에서 2.8~3%로 높인다는 전략이다. 앞서 양밍은 지난해 말 8,000~1만 5,000TEU급 컨테이너선 13척을 발주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지난달 총 10척 컨테이너선에 대한 입찰을 시작했다. 8,000TEU급 전통연료 컨테이너선 3척과 1만 5,000TEU급 LNG이중연료 컨테이너선 최대 7척이다. 현재 입찰 1단계는 종료됐고, 양밍은 각 조선소별 이용가능한 슬롯을 고려해 6~7월경에 2단계에 들어갈 예정이다. 양밍이 신조선 시장에 복귀한 것은 2년 만이다. 2023년 5월 HD현대중공업과 1만 5,500TEU급 LNG이중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가 28일(수) 부산해사고에서 미래 해양인재 육성을 위한 장학금 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날 수여식에는 안병길 해진공 사장, 김범수 부산해사고 교장, 각 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안병길 사장은 우수한 학업 성적과 태도를 보인 부산해사고 학생 20명에게 총 1천만 원(1인당 50만원)의 장학증서를 수여했다. 이번 장학사업은 심각한 국내 해기사 인력난 해소를 위한 해진공의 선제적 대응이다. 해양수산부 자료에 따르면 2025년까지 외항 상해기사 수요는 약 1만 4천명이나 실제 공급은 6천여 명에 그쳐 심각한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 이는 국적 선박 운항과 국가 물류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안병길 사장은 "해양강국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질 여러분의 열정과 도전정신은 우리 바다의 새로운 활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해진공은 앞으로도 해양 인재 육성에 적극 투자하여 국가 해운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장학증서를 받은 학생들은 "해기사가 되어 국가 물류의 핵심 역할을 하고 싶다"며 포부를 밝혔고, "장학금 덕분에 진로 목표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소감 등을 전했다.
HD현대중공업이 ‘MADEX 2025’에서 글로벌 해양방산 시장 공략을 위한 미래 청사진을 공개했다. HD현대중공업은 28일(수)부터 나흘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에 참가해 218㎡ 규모의 전시관을 꾸리고, 수출형 호위함과 무인전력 운영에 최적화된 미래형 전투함 등을 최초로 선보였다. MADEX는 우리나라 해군이 주최하는 국내 최대 해양 방위 산업 전문 전시회로 지난 1999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으며 올해에는 HD현대중공업, LIG넥스원 등 12개국 150여개 기업이 참여하며, 30여개국 해군 대표단 및 1만 5000여명의 전문 바이어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HD현대중공업은 차세대 스텔스 함정을 형상화한 부스를 LIG넥스원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한편, K-해양방산의 영역 확장을 위해 글로벌 방산기업들과 잇달아 손을 맞잡는다. HD현대중공업은 국내함정, 수출함정, 미래함정 등 3가지 테마로 전시 부스를 구성했다. 국내함정 섹션에서는 HD현대중공업이 자체 설계 및 건조한 정조대왕급 이지스 구축함을 기준으로 개발 중인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을 비롯해 울산급 배치-Ⅲ 선도함인 충남함, 자체 개발한 원
HJ중공업(대표이사 유상철)이 28일부터 31일까지 나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에 참가했다. HJ중공업은 이번 행사에서 강점인 함정의 전시는 물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영업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복안이다. HJ중공업은 그간 쌓아온 경험과 기술력을 강점인 수송함과 상륙함정, 경비함정 분야의 대표 모델을 선보였고, 부스는 각국 해군 간부들과 군함 전문가들로 성황을 이뤘다. 특히 국내 최대 대형수송함이자 해군의 지휘함인 마라도함과 독도함, 독보적인 기술을 자랑하는 고속상륙정(LSF-II), 해역함대의 전초 전력인 유도탄고속함(PKG), 3천톤급 및 500톤급 해경 경비구난함이 돋보였다. HJ중공업은 1974년 대한민국 최초의 해양방위산업체로 지정된 이래 독보적인 기술과 경험을 통해 설계와 건조, MRO 사업에 이르기까지 함정의 생애주기에 걸쳐 1,200여 척이 넘는 다양한 최신예 함정과 경비함, 군수지원 체계 사업을 수행해왔다. 국내 최대 규모의 함정인 독도함과 마라도함을 모두 건조한 조선사로 명성을 떨쳤으며, 이들 대형수송함에 탑재되는 초수평선 상륙작전의 핵심 전력인 공기부양 고속상륙정(LSF-II)을 건조할 수 있
미국과 일본 간 조선 부문 협력에서 쇄빙선이 부상하고 있다. 쇄빙선 건조에 강한 K-조선에는 악재다. 이와 관련,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최근 “쇄빙선에서 일본 기술이 상당히 우위에 있다"며 "미국과의 협력에 있어 북극항로를 포함해 쇄빙선이 하나의 포인트가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본 조선업계에 따르면 시게루 총리의 JMU 방문 이전에 미국 측은 자국 해안경비대(USCG)가 추진하는 소형 및 중형 쇄빙선에 관한 RFI(정보제공의뢰서)를 바탕으로 일본 조선소와 접촉하고 있었다. 일본 조선업계는 USCG가 RFI를 통해 소형 및 중형 쇄빙선 건조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