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발표된 일반운임인상(GRI)에도 불구하고, 동서 기간항로의 컨테이너 스팟운임은 제한적인 상승세에 그쳤다.
일부 선사는 반쯤 빈 선박을 채우기 위해 즉각적인 할인 공세에 나서기도 했다.
이번 주 드류리(Drewry)의 세계컨테이너지수(WCI)는 상하이-로스앤젤레스 항로에서 전주 대비 9% 상승해 FEU당 2,647달러, 상하이-뉴욕 항로는 8% 상승해 FEU당 3,857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또 상하이-로테르담 항로는 9% 상승해 1,962달러, 상하이-제노바 항로는 8% 올라 2,111달러의 운임을 각각 나타냈다.
하지만 시장 관계자들에 따르면 아시아-미 서안 항로에서 할인운임이 1,900~2,100달러 수준에서 광범위하게 제공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시아-미 동안 노선에서도 유사한 할인 거래가 2,800달러 수준에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운임 할인은 7일부터 12일까지 출항하는 단기 운항에 주로 적용됐다.
드류리는 운임 유지를 위해서는 선사들이 추가 GRI 도입과 선복 축소 전략을 병행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런 맥락에서 MSC는 태평양 횡단 항로 중 일부를 중단한다고 발표했으며, Amberjack 서비스의 Zim Mount Blanc 48주차 항해가 취소됐다.
프레이토스(Freightos)의 수석 애널리스트 주다 레빈(Judah Levine)은 최근 성사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회담에서 이뤄진 합의가 갑작스러운 수요 급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그는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상품의 약 2/3가 여전히 최대 25%의 관세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다른 국가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수입업체들은 소싱 다변화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다음 주 운임 전망에서 상하이-미 서안 노선 운임이 전주 대비 16% 하락한 2,212달러, 동안 항로는 17% 하락한 2,848달러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제네타(Xeneta)의 수석 에널리스트 피터 샌드(Peter Sand)는 “선사들이 2026년 계약 시즌을 앞두고 선복을 신중하게 관리하고 있다"며 "이같은 시도가 일정부분 성공했지만, 결국 수요 약세가 운임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