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의 고율 관세와 글로벌 수요 불확실성이라는 이중 악재 속에서도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대외무역에서 3.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또 상하이항은 10월 한 달간 454만 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하며, 연간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국 세관총서가 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1~10월 중국의 총 수출입 규모는 37조 3,100억 위안(약 5조 2,400억 달러)에 달했다.
이 기간 미국과의 무역은 16% 감소했지만 유럽연합(EU), 아세안, 러시아 등과의 교역 확대가 전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중국은 최근 몇 년간 공급망 다변화와 내수 확대 전략을 병행하며, 미국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무역구조를 재편해왔다. 이에 따라 미국과의 무역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수출은 플러스를 기록하며, 글로벌 수출 회복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무역 회복은 단기적인 반등이라기보다는 구조적 전환의 결과”라며 “특히 동남아시아 및 중동, 러시아와의 무역 확대가 향후 지속적인 성장기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중국의 최대 수출입항인 상하이항의 물동량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상하이국제항만그룹(SIPG)은 10월 상하이항에서의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453만 5000TEU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상하이항의 물동량은 지난 8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올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처리량은 4,607만 1000TEU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