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정부가 북극 해저에 침몰한 냉전시대 핵잠수함 두 척(K-27, K-159)을 인양하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한다.
러시아 정부는 2026년 연방 예산안과 2027~2028년 계획 예산에 이들 잠수함의 인양 및 해체를 위한 총 300억 루블의 예산을 책정했다.
북극항로를 관리하는 원자력공기업 로사톰(Rosatom)은 “2026년부터 인양준비 작업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적인 복구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라며, “방사능 위험 물체로부터 북극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로사톰은 "이들 잠수함은 ‘똑딱거리는 방사능 시한폭탄’"이라며, "조속한 인양과 안전한 해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27호는 1982년 카라해의 스테포보이 만에 고의로 침몰됐으며, K-159호는 2003년 바렌츠해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로 침몰했다. 두 잠수함에는 총 800kg의 사용후 핵연료가 탑재되어 있으며, 약 5.3기가베크렐(GBq)의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선체 부식이 심화될 경우 방사성 물질이 유출돼 바렌츠해의 주요 어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노르웨이 해양연구소(Norwegian Institute of Marine Research)의 모델링 연구에 따르면, 두 잠수함의 원자로에서 세슘-137이 전량 유출될 경우, 바렌츠해 동부의 대구(Cod) 내 방사능 농도가 현재보다 최대 10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이 수치는 국제 기준치를 초과하지는 않지만, 수산물의 시장성에는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로사톰은 인양 후 해체 작업을 위해 콜라 반도의 기존 인프라를 활용할 계획이다.
K-27은 프랑스가 건설한 그레미카 해체 시설에서, K-159는 네르파조선소에서 해체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번 조치는 2002년 네덜란드 인양업체 마무엣(Mammoet)이 핵잠수함 '쿠르스크호'를 성공적으로 인양한 사례에 이어, 러시아가 다시 한 번 대규모 해저 인양 프로젝트에 나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