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2025 가스텍(Gastech)'에서 차세대 LNG운반선 설계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다양한 혁신 모델들이 대거 공개됐다.
AiP(원칙적 승인)가 쏟아지다시피 해 행사 기간 동안 LNG운반선에만 30건이 넘는 AiP가 체결됐다.
각국 조선소들은 LNG선 '발주 가뭄' 속에서 새로운 기술과 디자인을 선보이며 차세대 선박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신조선 수주 격감으로 여유가 생긴 조선소들이 혁신적 설계에 집중, 다양한 모델들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가장 돋보인 것은 뭐니해도 'K-조선'이었다.

HD현대중공업은 17만 8,000㎥급 ‘퓨처 플랫폼’ LNG운반선 모델을 통해 선박 전면에 브릿지와 숙소를 배치한 설계를 내놓았다. 삼성중공업은 브릿지는 전면에, 숙소는 후미에 배치한 모델을 전시했다.

삼성중공업은 또 소형 모듈 원자로(SMR)를 장착한 LNG운반선 개념을 제시했다.
한화오션은 암모니아 터빈 기반 전기 추진식의 ‘무탄소’ LNG운반선을 전시하면서 친환경 LNG선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일본의 미쓰이 OSK 라인(MOL)은 자사 선박에 적용 중인 ‘윈드 챌린저(Wind Challenger)’를 소개하면서 4개의 망원형 돛을 장착한 새로운 설계를 제시했다.
또 Bound4blue는 프랑스 GTT와 협력해 흡입식 돛을 장착한 20만 ㎥급 LNG운반선 모델을 공개했다.
중국 조선공기업 CSSC는 LNG 및 CO₂ 운반선 모델과 함께 계열사인 장난조선소(Jiangnan Shipyard)의 차세대 화물탱크시스템인 ‘BrilliancEII’를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한층 높아진 연료 효율성과 적재 용량 개선을 제시했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올해 들어 신조 발주된 LNG운반선은 17척에 불과하지만 향후 액화 프로젝트의 승인과 건설이 본격화됨에 따라 발주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