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15.6℃
  • 맑음강릉 17.3℃
  • 맑음서울 16.9℃
  • 구름많음대전 14.7℃
  • 흐림대구 14.0℃
  • 흐림울산 15.4℃
  • 흐림광주 12.7℃
  • 흐림부산 15.2℃
  • 흐림고창 12.7℃
  • 흐림제주 16.7℃
  • 맑음강화 13.7℃
  • 구름많음보은 14.2℃
  • 구름많음금산 14.3℃
  • 흐림강진군 14.1℃
  • 흐림경주시 14.8℃
  • 흐림거제 14.3℃
기상청 제공

해운/항만/물류

북항 감만부두 2번 선석 운영사로 BPT㈜ 선정

부산 북항 재편의 '마지막 퍼즐' 완성. 신선대감만터미널, 부산항 최대 운영사로 부상

  • 등록 2025.11.12 13:52:36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12일 신선대감만터미널(주)(BPT, 舊 부산항터미널(주))과 부산항 북항 감만부두 2번 선석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다.

 

북항재개발사업 추진 과정에서 일반부두로 임시 운영 중이었던 감만부두 2번 선석은 이번 계약으로 다시 컨테이너 부두로 전환하여 활용된다.

 

이번 계약으로 BPT는 2026년부터 기존 신선대부두(5개 선석)와 감만부두2개 선석에 더해 추가 1개 선석까지 운영하게 되어, 총 2,550m 길이의 안벽에서 5만 톤급 선박 8척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부산항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갖추게 됐다.

 

1998년 개장한 감만부두는 5만 톤급 4개 선석을 한진해운, 대한통운 등 4개 운영사가 각 1개 선석씩 운영하였으며, 그동안 정부의 통합 정책에 따라 운영권 양도․합병 등의 과정을 거쳐 현재 1번 선석은 한국허치슨터미널(주), 3~4번 선석은 신선대감만터미널(주)에서 운영 중이다.

 

정부와 BPA는 2006년 신항 개장과 북항재개발사업 착수 이후 북항의 운영사 통합, 일반부두 이전, 자성대부두 폐쇄 등 단계적으로 북항 컨테이너부두 기능 재편 관련 정책을 이행해왔다.

 

 

이에 따라 BPT는 소규모·다수 터미널 체계였던 부산항 북항의 5개 운영사를 통합하여 2016년 출범하였으며, 이번 감만 2번 선석 운영에 있어 지난 통합과정에서 승계한 기존 인력과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조기 안정화할 계획이다.

 

현재 북항은 연근해 선사(인트라 아시아(Intra-Asia)) 선사의 거점항으로서, 부산항 물동량의 27%(651만TEU), 수출입화물의 40%(420만TEU)를 처리하고 있다. 이는 인천항(356만TEU), 광양항(201만TEU), 울산항(40만TEU)의 화물을 모두 합한 것보다 높은 수준이다.

 

또한 고려해운․장금상선 등 국적선사 화물 대부분이 북항을 이용하며 국내 선사의 안정적 선대 운영을 뒷받침하고 있다.

 

현재 북항에는 세계 6위 글로벌터미널운영사인 한국허치슨터미널(주)과 장금상선 등 국내기업이 투자한 신선대감만터미널(주)이 부산항대교 외측의 신감만, 감만, 신선대 총 3개 부두를 운영 중이다.

 

한편, 한국허치슨터미널(주)은 지난해 북항 재개발 2단계 사업 추진에 맞춰, 국내 최초 컨테이너부두인 자성대부두 운영을 46년만에 종료하고, 대형 하역장비와 500여명의 근로자를 신감만부두로 성공적으로 이전시켰다. 이를 통해 기존 부두 대비 높은 안정성과 운영 효율을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 BPA는 북항이 아시아 및 국적선사 핵심 거점항으로서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중소형 선박이 주로 기항하는 북항의 특성을 반영해 맞춤형 시설·장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BPA 송상근 사장은 “노후화된 인프라를 선박 규모와 운영 여건에 맞게 효율적인 터미널로 재편하고, 북항 3개 부두 간 연계운영을 위해 단계별 개선을 추진하여 선사의 운항 효율성과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부두 간 자원 공유 및 단계적 통합운영 체계 구축을 통해 규모의 경제와 운영 시너지를 실현하고, 북항의 종합적인 운영 경쟁력 및 항만 서비스 품질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