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산 선박에 대해 시행해온 항만 수수료 부과를 오는 10일부터 유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1일(현지시간) 공개한 미중 정상회담 경제·무역 합의에 대한 팩트시트(설명자료)에서 “중국은 ‘해양·물류·조선업 지배력 강화’에 대한 미국의 (무역법) 301조 조사 발표에 대한 보복 조치를 철회하고, 여러 해운 업체에 부과한 제재를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또 “미국 역시 301조 조사에 따라 취했던 대응 조치 시행을 2025년 11월 10일부터 1년간 중단한다”며 “이 기간 동안 미국은 301조에 따라 중국과 협상하는 한편 한국, 일본과 역사적인 협력을 지속해 미국 조선업 부흥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양국 간 무역 긴장 완화의 일환으로, 선사들의 항로 운영 부담과 조선업계 수주 불확실성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머스크(Maersk)와 하팍로이드(Hapag-Lloyd) 등 글로벌 선사들도 이에 따른 영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머스크는 “항만 수수료 유예가 실제 운임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 중”이라고 밝혔으며, 하팍로이드는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에서는 미중 갈등의 불똥이 번진 한화오션이 관심사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10월 14일 자로 ▲Hanwha Shipping ▲Hanwha Philly Shipyard ▲Hanwha Ocean USA International ▲Hanwha Shipping Holdings ▲HS USA Holdings 등 5개 법인에 대해 중국 내 기업 및 개인의 거래를 금지하는 제재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수수료 부과 유예와 함께 중국이 한화 미 법인들에 내린 제쟈 또한 거두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