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가 주최하는 '제13회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Busan International Port Conference, BIPC)'가 23일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개최됐다.
24일까지 진행되는 올해 BIPC의 주제는 ‘지속가능한 항해, 혁신적 도약(An Innovative Leap towards Sustainable Voyages)’이다.
최근 세계 교역 환경은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교역량 위축과 물동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해운·항만 업계 전반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이러한 세계 교역 구조가 흔들리는 상황 속에서 글로벌 항만 간의 긴밀한 협력과 연대가 절실하다는 인식 아래, 해운·항만·물류 산업이 함께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올해 BIPC를 마련했다.
이번 행사는 이러한 도전 속에서 항만들이 어떻게 혁신하고 협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번 행사에서 특히 주목받은 세션은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시장 전망과 주요 항만들의 디지털 전환 및 탈탄소화 경험과 성과를 공유한 자리였다.
‘컨테이너 해운시장 계량 분석의 선구자’로 불리는 베스푸치 마리타임의 CEO 라스 얀센(Larse JENSEN)은 해운·항만을 둘러싼 다양한 변수를 짚으며, "불확실성이 시장의 상수로 자리 잡은 만큼 항만과 선사들이 유연성과 협력, 그리고 가시성을 기반으로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고 시나리오별 대응 옵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항만협회(IAPH) 총재이자 함부르크항만공사 사장인 옌스마이어는 “디지털화 없이는 지속가능성의 실행과 측정이 불가능하며, 디지털화는 반드시 국제 표준과 글로벌 협력의 틀 속에서 추진되어야 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항만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orts&Harbors)는 전 세계 항만을 대표하는 최대 규모의 국제 협의체로 글로벌 항만 정책과 기준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체다.
한편, 탈탄소화 전략을 앞세운 LA항만청의 진 세로카 청장은 2005~2023년 동안 대기오염 물질을 대폭 감축하면서도 컨테이너 물동량은 오히려 15% 증가했다는 점을 들어, “탈탄소화는 성장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판”이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이번 BIPC 언론 인터뷰에서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부산항의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강조했다.
특히 블록체인 기반 항만커뮤니케이션시스템, ‘체인포털(ChainPortal)’ 을 구축해 이해관계자 간 데이터 협력을 선도해왔으며, 이 성과가 세계은행과 국제항만협회(IAPH)에서도 우수 사례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송 사장은 이어 부산항은 국제 디지털 협의체인 체인포트(ChainPORT)'와 'PCO (Port Call Optimization)'의 주요 회원으로 활동하며, 글로벌 항만의 디지털 전환과 국제 표준화 논의에도 힘을 보태고 있다고 덧붙였다.
체인포트는 2016년 함부르크항 주도로 설립된 글로벌 항만공사 협의체로 데이터 협력, 신기술 적용 등 항만의 디지털 전환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네트워크다. 또 PCO는 로테르담항 주도로 2014년 설립된 협의체로, 선박·항만·터미널 간 기항 데이터의 국제 표준화를 중점으로 추진하고 있다.
BPA 송상근 사장은 “올해로 13년을 이어온 BIPC는 격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도 항만 간 협력을 주도해 온 무대로 자리매김했다. 앞으로도 이를 발판으로 각국 항만 리더들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