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를 실은 여객선 운항이 늘어나는 가운데, 현장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화재 대응장비 보급과 교육·훈련 지원이 본격 추진된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은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와 함께 총 4억 5천만 원의 국비를 투입해, 전기차를 선적할 수 있는 전국 국가보조항로 연안여객선 등을 대상으로 화재 대응 장비를 지원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전기차 운송이 증가하는 해상교통 환경에 맞춰, 여객선 이용 안전을 높이고, 선박별 여건에 맞춘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등록 대수는 2024년 기준 68만 4천 대로 전년 대비 14만 대가 늘었다.
전기차는 해상 운송에서도 보편화되고 있다. 작년 약 2만 3천 대의 전기차가 여객선을 통해 이동했으며, 전국 여객선 149척 중 114척(76.5%)이 전기차를 실을 수 있다.
공단과 해양수산부는 전기차 선적 시 필요한 사전 식별 절차, 적재구역 지정‧운용, 선내 충전 금지 등 세부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으며, 매표 시스템을 통해 전기차 선적 현황도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번 장비 보급은 ▲차량 하부(배터리) 냉각용 상방향 물 분사장치 ▲화재 연기 확산을 막는 질식소화포(덮개) ▲진화 요원 보호 장비인 소방원 장구로 구성되며, 선박별 운영 상황에 맞춰 활용할 수 있도록 선원 대상 장비 사용 교육도 병행된다. 전기차를 선적하기 전 배터리 상태를 미리 점검할 수 있는 진단기도 순차 보급될 예정이다.
공단은 정부와 함께 자동차 운송선박에 전기차 화재 대응장비의 비치를 의무화하는 「선박소방 설비기준」개정도 추진 중이다.
공단은 여객선 현장의 초기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해, 소방청, 해경 등과의 합동훈련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민·관·공 합동훈련을 19차례 실시한 데 이어, 올해도 전국 단위 훈련을 확대한다. 또한 여객선 선원의 실무 능력을 높이기 위한 ‘비상훈련 경진대회’도 올해로 2년 연속 전국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여객선 화재 예방 선원용 교육영상과 대국민 홍보영상도 공단 운항상황센터 11개 네이버 밴드와 전국 연안여객선터미널 전광판 등에서 제공하고 있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공단은 이번 사업을 통해 각 여객선사가 자체적인 대응체계를 보다 실효성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해상교통 환경에 맞춰 안전한 바닷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