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성어기 안전 ‘주의보’ … 작년 근해어업 사고 전년 대비 증가

  • 등록 2025.04.09 13:51:04
크게보기

작년 경북‧제주 해양사고 증가율 평균 상회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이 9일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 해양수산부 위탁)을 통해 최근 2년(’23~’24년) 간 해양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작년 해양사고 발생 선박은 총 3천559척으로 전년 대비 142척(4.2%) 늘었다.

 

선박 척수를 기준으로 어선 사고는 2천352척, 수상레저기구 사고는 637척, 비어선(화물선 등) 사고는 570척 발생했다. 어선 사고는 전년 대비 91척(4.0%) 증가했고, 수상레저기구 사고는 42척(7.1%), 비어선 사고는 9척(1.6%) 늘었다.

 

선박 용도별 사망‧실종자를 보면, 어선 사고 사망‧실종자가 전년보다 40명 늘어난 118명으로, 전체의 72%를 차지했다. 비어선(화물선 등), 수상레저기구 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전년보다 각각 29명, 1명 늘었다.

 

작년 해양사고에서 어선 사고와 이로 인한 인명피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전년보다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어, 어업 업종별 사고 분석과 예방책이 요구된다.

 

 

《 어업 업종별 분석 》

 

지난해 어선 사고 2천352척 가운데, 최근 2년간 어업 업종별 사고 증가율은 구획어업이 59.3%(+16척)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 근해어업이 9.2%(+44척), 낚시어선이 9.1%(+30척) 증가하며 증가세를 보였다. 

 

대형 인명피해(사망‧실종)는 근해업종이 많았다. 작년 근해업종 사망‧실종자는 주요 사고(충돌, 전복, 침몰, 안전사고 둥)에 집중됐는데, 작년 근해 세부 업종별로 전년보다 주요 사고가 증가한 어업은 근해안강망어업(+11척), 근해채낚기어업(+8척), 근해자망어업(+7척) 순이었다. 반면, 단순사고(접촉, 좌초, 기관손상 등)로는 근해연승어업(+49척), 근해자망어업(+35척), 근해채낚기어업(+16척) 순이었다. 

 

낚시어선은 낚시 인구 증가와 소형선박 중심의 레저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사고 건수도 증가하는 추세다.

 

반면 연안어업은 사고 건수가 작년보다 소폭 감소(△3.0%) 했으나, 1인 조업 어선이 많고 기상 변화에 취약한 특성상 안전관리 사각지대로 지적된다. 

   

작년 안전사고는 어선 척수를 기준으로 어선 137척에서 발생했는데, 이중 근해어업이 61척, 연안어업이 56척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는 ▲목격자 없는 사망·실종 ▲해상추락 ▲나홀로 조업 중 사고 등이 지목됐다.

 

 

《 지역별 해양사고 분석 》

 

2024년 지역별 선적항 기준, 전년보다 해양 사고율이 증가한 곳은 제주와 경북 지역으로 나타났다. 작년 제주(14.2%)와 경북(9.3%) 지역 사고율(사고선박척수/등록선박×100)은 권역별 평균(4.8%)을 크게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제주와 경북 지역 해양사고 발생 선박도 전년보다 각각 1.5%포인트(p), 1.9%p 상승했다.

 

한편 지난해 해양 사고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전남으로 1.9%(559척)를 나타냈다. 전년보다 0.1%p 감소한 수치다.

 

경북과 제주 지역 어선은 근해통발, 자망어업, 근해연승어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아 한일 중간수역, 동중국해 등 원거리 조업의 비중이 높다. 

 

특히 동해는 해안선에서 수심이 급격히 깊어져, 경북지역의 연안어업선은 실질적으로는 원거리 조업을 하는 선박이 많아 안전에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작년 경북지역 연안어업 사고는 전년보다 27.9%p(38척) 증가해, 전 업종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제주 해역은 최근 기후 이변 영향이 가장 두드러지는 지역이다. 기후 이변은 너울성 파도, 돌풍 발생 빈도를 높여 해상추락 등 안전사고 외에도 전복, 침몰 사고를 유인하는데, 실제 작년 제주지역의 침몰, 전복 등 주요 사고는 전년보다 23.6%나 증가했다.

 

최근 해양사고는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조업환경 변화로, 단순히 양적 증가보다 사고 한 건당 대형참사를 유발하는 질적 위험성 증가에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특히 근해어업 중심의 대형 인명피해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공단은 올 한해 전년 대비 사고율이 증가한 지역과 어업 업종별 개별 사고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는 등 실효적 예방 대책을 추진하고, 선적항을 관할하는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하는 등 성어기 어선의 안전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Copyright @해양통신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0723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8길 17, 1001호(여의도동,해운빌딩) 등록번호: 서울 아55139 | 등록일 : 2023년 10월 26일 | 발행인 : 이주환 | 편집인 : 이주환 | 전화번호 : 02-835-7003 Copyright @해양통신 Corp. All rights reserved.